d라이브러리
"배"(으)로 총 8,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탐험대] 알파 센타우리 /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세 번째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비교적 어두운 편인데, 밝기가 태양의 0.001배에 불과하답니다.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b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이에요. 프록시마는 ‘가깝다’는 뜻의 라틴어 단어예요. 과학자들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주변을 도는 ... ...
- [특집] 초기 우주, 시간이 느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서로 마찰해, 블랙홀 주변에 빛이 방출돼요. 퀘이사의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10억 배나 되는 무거운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어 엄청난 빛이 나옵니다. 퀘이사는 강력한 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수십억 광년 떨어진 아주 먼 거리의 지구에서도 볼 수 있지요. 연구팀은 퀘이사를 활용해 초기 우주에 ... ...
- [가상 인터뷰] WHO,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 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아스파탐’이야. 열량은 1g당 4kcal(킬로칼로리)로 설탕과 비슷하지만, 설탕보다 200배 단맛을 낸다는 것이 특징이지. 아스파탐은 1974년 미국 식품의약국이 인공 감미료로 승인한 이후 지금까지 약 50년간 무설탕 음료나 과자에 사용되어 왔어. 그런데 지난 7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휘게 만든다는 점에서 블랙홀의 아이디어를 제공했어요. 아인슈타인은 태양보다 수천 배 이상 무거운 천체가 있다면, 시공간이 너무 휘어진 나머지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할 거라 생각했어요. 그는 빛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불렀습니다. 1960년 미국의 물리학자 존 ... ...
- [4컷 만화] 3D 프린터로 만든 심장, 100일 넘게 박동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이후 굳은 젤을 제거해 완성한 인공 심장은 높이 14mm, 지름 8mm로 사람의 심장보다 6배 작은 크기였어요. 프린트된 심장은 일주일 뒤부터 박동하기 시작해 100일 넘게 박동을 유지했습니다. 심장 박동을 촉진하는 물질인 ‘페닐에프린’을 주입하자 진짜 심장처럼 박동 속도가 더 빨라지기도 했죠 ...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자연스러운 욕구입니다. 지금 여러분이 품고 있는 호기심을 유지하면서 좋아하는 분야를 배우고, 자기 통제력까지 갖춘다면 탐험가의 자질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을 거예요. 세상과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내년에 있을 탐험이 그 ... ...
- [현장취재①] 야생동물의 천국, 야쿠시마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탐사 중 인상 깊었던 건,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의 행동이었습니다. 대원들은 동물들을 배려하기 위해 다가가고 싶은 마음, 만지고 싶은 마음을 가라앉혔죠. 동물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자신의 편리함과 욕심을 제쳐두고, 끝까지 기다렸어요. 야쿠시마에 머무는 내내 숲에는 비가 쏟아져 원숭이나 ... ...
- [가상 인터뷰] 암흑 물질 탐정 등장!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앞으로의 계획을 알려줘. 나는 1990년 발사된 허블 우주 망원경과 비교하면 시야가 200배나 넓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25년 동안 관측해야 하는 넓이의 하늘을 이틀 만에 볼 수 있을 정도야. 올해 10월부터 본격적인 관측을 시작해서 약 6년 동안 최대 100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15억 개 이상을 ... ...
- 길이로 정했어요, ‘도레미파솔라시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일곱 가지 음이름 도, 레, 미, 파, 솔, 라, 시를 처음 정리한 사람은 바로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예요. 2500년 전의 어느 날, 피타고라스는 ... 음계의 간격을 나타내는 단위예요. 한 옥타브 올라갈 때마다 소리의 진동수는 2배씩 높아지지요. 더 많이 진동할수록 더 높은 소리가 나요 ... ...
-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물려 잘린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타니스트로페우스는 목이 몸통보다 3배나 긴 해양 파충류로, 얕은 바다에 살며 긴 목을 활용해 먹이를 사냥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팀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에 보관된 타니스트로페우스 화석 두 종을 정밀 분석했어요. 두개골과 목뼈를 조사한 결과,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