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들쭉날쭉 CO2 농도, 범인은 농사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마크 프라이들 교수는 “경작지의 면적은 일정해도 기술이 발달하면서 면적당
수확
량은 늘어난다”며 “농업 기술의 발달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계절 편향성을 더 심해지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볼 수 있지. 잎이 빨갛게 물든단다.빨갛게 단풍 드는 블루베리 잎여름에 열매를 모두
수확
하고 가을이 되면 블루베리 잎이 붉게 변하면서 단풍이 들기 시작해요. 이렇게 잎이 붉게 물드는 이유 역시 안토시아닌 때문이지요. 블루베리 잎에도 열매만큼이나 많은 안토시아닌이 들어 있답니다.가을에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보급됐다. 박정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1976년에 드디어 쌀 자급에 성공했다. 그 해
수확
량은 3621만 석이었다. 1978년에는 전체 벼 재배 면적의 76.2%에서 통일벼를 재배했고 평균 생산량도 500kg가까이 뛰어올랐다. 드디어 하얀 쌀밥을 배불리 먹을 수 있게 됐다. 2014년 세계화 속에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한 대가 나타나 작은 플라스틱 통 하나를 풀밭 위에 살짝 내려놓는다. 통 속에는 얼마 전
수확
한 싱싱한 딸기 1kg이 들어 있었다.최근 ‘드론(Drone)’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는다. 드론의 원래 뜻은 ‘낮게 웅웅거리는 소리’. 여기서 다양한 뜻이 파생돼 ‘수벌’, ‘악기가 내는 저음’ 등의 뜻으로도 ... ...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아다마와 고원에 사는 원주민도 바나족처럼 나무 위에서 꿀벌 농사를 짓는다. 꿀을
수확
할 때는 나무섬유로 세심하게 온 몸을 칭칭 감싼다. 무겁긴 하지만 벌침을 막아주는 튼튼한 보호막이다. 된장독, 고추장독처럼 생긴 토기에서 작은 벌들이 파르르 날개짓을 하며 힘차게 날아오른다. 꽃을 든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들이 다양한 품종을 개발한 덕분에 지난 30년동안
수확
량이 그 이전보다 두 배 증가했다. 야생의 꽃식물과 비교하면 엄청난 번식력인 셈이다. 밀은 유럽인을 선택했다. 온난한 유럽 기후에서 밀이 살기 쉬웠기 때문이다.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라고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2000년대 초반부터 농가에서 ‘곤포사일리지’를 도입하면서 철새들의 주요 먹이인 낙곡(
수확
할 때 떨어진 낟알)이 많이 줄었다. 곤포사일리지는 볏단을 압축한 뒤 비닐로 밀봉해서 만든 가축용 숙성사료를 말한다. 추수가 끝난 논 한가운데는 볏짚 대신 마시멜로처럼 둥그렇고 하얀 포대만 ... ...
네가 먹는 초콜릿은 진짜 초콜릿이니?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기술을 개발한 뒤부터는 지금 먹는 초콜릿의 형태를 갖게 됐다.카카오 나무에서
수확
한 카카오 열매는 여러 단계의 가공을 거쳐 우리가 먹는 초콜릿이 된다. 우선 커피도 커피 콩을 볶아 향을 내듯, 카카오 콩도 볶아서 초콜릿 향을 내도록 만든다. 볶은 콩의 껍질을 까고 과육 부분만 다듬은 상태를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작아서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을 기를 수 있어요. 또 한 포기에서 무려 1만 개의 씨앗을
수확
할 수 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자료도 많지요. 게다가 유전체 크기도 사람 유전체의 20분의 1 정도로 작아서 연구하기 쉽고, 돌연변이체도 쉽게 생기는데다 돌연변이를 일으킨 유전자를 꺼내 복제할 수도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배추가 품질이 좋다는 통설이 있지만 사실은 다르다. 가장 품질이 좋은 것은 바로 11월에
수확
하는 김장 배추다.배추는 중국 북부가 원산지인 만큼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채소다. 생산 기온 상한선이 22℃밖에 안되는 반면, 추위에 강해 영하 2℃까지도 버틴다. 온도가 22℃보다 올라가면 제대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