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나 귀엽냐옹~?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번에 많은 양을 만들어야 해서 엄청 큰 그릇에 계란 물을 넣고 중탕해 만들어요. 계란에
열
을 가하면 흰자의 황 성분이 분해되는데, 이 황 성분이 노른자에 있던 철 성분과 반응해 황화철이 생기며 색이 변하거든요. 이때 계란찜을 오래 조리할수록 계란찜에 회색 몽고점이 더 많이 생기지요. 색은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사라지거나 느려진다! 구슬 마술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곳에서 사람이 물을 얻을 수 있는 실용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답니다. ➊캡슐을
열
고 쇠구슬을 넣는다.➋ 1의 캡슐에 꿀을 가득 채운다.➌빗면을 설치한 후, 쇠구슬과 꿀을 넣은 캡슐과 빈 캡슐을 나란히 굴린다.➍ 캡슐이 빗면을 구르는 속도를 관찰한다. ☞결과 : 달팽이 공, 빈 캡슐보다 ...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좀 더 튼튼한 작물을 생각하다가 케일이 떠올랐다. 정대호. 연암대 스마트원예계
열
교수로 서울대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식물 광합성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jdhenv@yonam.ac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이어져 있었다. 우연히 이 같이 배
열
됐을 확률은 0.6%에 불과하다. 천문학자들은
열
차의 양 끝인 꼬리칸과 머리칸의 두 왜소은하 RCP3와 DF5에 주목하고 있다. 두 왜소은하가 80억 년 전에 가장 먼저 충돌한 두 개의 모(母)은하 A, B에서 각각 떨어져 나온 조각일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다. 만약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태풍은 언제든지 올 수 있다”고 밝혔다.*엘니뇨 : 동에서 서로 부는 무역풍이 약해지며
열
대 동태평양과 중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 보통 2~7년 간격으로 불규칙하게 발생하고 약 1년 정도 지속된다. 한국은 엘니뇨 감시구역에서의 3개월 평균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부분보다도 압력이 높아 내핵과 같은 고체 금속이지만 결정 구조가 다른 방식으로 배
열
돼 있으리라는 추측이다. 내핵은 약 한 세기 전에 발견됐다. 그런데 이제야 최심부 내핵이 발견된 이유가 궁금했다. 이에 대해 팜 연구원은 “내핵이 있는 지구 중심부를 통과하는 지진파 자료를 수집하기가 ... ...
[SF소설] 귀향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한다. 난 좀 더 자세히 알아봤다. 관련 자료를 뒤지고 사건을 조사했다. 기밀문서를
열
람하고 관계자들을 만났다. 그리고 알게 됐다. 지아는 바로 실험 때문에 R구역을 나올 수 있었다. 일반인을 적합자로 바꾸는 실험이었다. 대상자는 R구역 및 슬럼가의 주민들이었다. 지아는 R구역을 나가는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모기 프로그램(WMP)은 지난 4월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모기로 인해 전파되는 뎅기
열
과 같은 감염병으로부터 7000만 명의 사람을 지키기 위해 ‘볼바키아’란 박테리아에 감염된 모기를 방사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매년 최대 50억 마리의 감염된 모기가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4D) 프린팅 생분해성 씨앗 로봇을 개발했다. 4D 프린팅이란 3D 프린터로 출력한 물체가
열
, 습도 등 주변 환경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는 기술을 뜻한다. 이탈리아기술연구원과 트렌토대 공동연구팀은 생분해성 소재로 배터리나 외부 에너지원 없이 주변 환경에 따라 형태를 바꾸고 이동을 할 수 있는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구리 원자들이 한 방향으로 연결돼
열
전달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현재
열
교환기 등을 제작하는 데 활용된다. 얇은 텅스텐 vs. 두꺼운 알루미늄, 더 강한 재료는? 지금까지 설명한 구멍이 많은 초경량 금속을 곧바로 자동차나 비행기에 적용하긴 어렵다. 재료의 밀도를 낮춰 에너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