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켓
마킷
시장
장
장사판
d라이브러리
"
저자거리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허블우주망원경이 하고 있는 일 중 하나는 대부분 은하 중앙에 있다고 믿어지는 거대한 블랙홀을 찾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10의 거듭제곱을 이용한 간단한 수식을 이용해 현대 천문학의 총아로 등장하고 있는 거대한 블랙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블랙홀 이론의 뿌리가 된 아인슈타인의 ...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반복되고 있는 과학적 오류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은 모두 평행인가? 우주공간의 중력은 0인가?모든 작용에는 동일한 크기의 반작용이 있는가? 구름 많은 날 그림자가 안보이는 것은 햇빛이 밝지 않기 때문인가? 이 모든 질문들은 우리가 이미 중 고등학교 시절을 거치며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사이 ... ...
'생명공학재난' 경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지난 10월 1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이사회는 우리나라를 29번째 가입국으로 승인했다. 우리나라 경제가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경쟁하기 시작했음을 알리는 공식적인 신호탄이었다. 그런데 하루 전 동아일보는 1면 기사에서 미국의 소비자 단체들이 유전적으로 변형된 ‘첨단 식품’에 대 ... ...
수학 마무리 특강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오는 11월 13일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날이다. 4백점 중 80점에 해당하는 수학은 당연 부담이 큰 과목이다. 어떻게 하면 점수를 올릴 수 있을까. 수학공부원리와 그 비법을 공개한다.표현력 문제가 늘어날 전망올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이제 50여일앞으로 다가왔다. 지금까지 실시됏던 시험에 ... ...
인터넷 과학 사이트 베스트 57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정보의 보고(寶庫)'라 불리는 인터넷에서는 학술관련 정보도 쉽게 구할 수 있다. 특히 전산학을 중심으로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과학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에는 인터넷을 따라올 만한 곳이 없다. 이번 달에는 과학의 각 분야에 관련된 인터넷의 정보 중에서 중요한 곳들을 소개한다.생물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우리은하 1천억개의 별중에는 지적문명체가 얼마나 존재할까. 드레이크 방정식은 적게는 수개, 많게는 10만개의 해법을 내놓고 있다. 그동안 인류가 쌓아온 과학지식을 총동원, 우주인의 존재를 예측해보자."인류는 광활한 우주의 유일한 문명체인가?" 태양과 같은 별들이 1천억개나 모여 있는 우리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1960년 오즈마계획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지구밖문명체 탐사가 시작됐다. 오즈마에서 페닉스계획까지 우주인찾기 35년의 역사를 살펴본다.1960년 미국 동부 웨스트버지니아주 그린뱅크시에 있는 국립전파천문대에서는 인류 역사상 가장 의미있는 일이 시작됐다. 이름하여 '오즈마계획'. 그것은 바로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과학의 새 지평을 연 아인슈타인 박사. 모든 과학자의 우상이며 20세기의 대표적인 위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도 두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지는 못했다. 사적으로는 평균이하(?)였던 아인슈타인의 삶이 집요한 추적자들에 의해 밝혀지고 공개됐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인슈타인의 사생활' (동아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하등동물일수록 자극에 대하여 정해진 형태의 행동을 한다. 주로 생식과 정보전달에 쓰이는 동물의 본능행동에 대해 알아보자.동물의 자극에 대한 행동에는 선천적으로 지닌 행동과 태어난 후의 생활 경험 등에서 얻어진 행동이 있다. 하등 동물의 행동은 주로 선천적인 것으로, 자극에 대하여 어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인간은 새와 박쥐, 그리고 비생성 씨앗에서 창공을 날 수 있는 영감을 얻고 이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결과 비행기를 만들게 됐다.인간이 만든 문명의 이기 가운데는 자연의 모습을 응용해 만든 것이 많다.나는 새와 박쥐, 그리고 비행성 씨앗에서 인간은 창공을 날 수 있는 영감을 얻고 이를 위해 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