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먼저인가 아니면 실리적인 사업이 먼저인가 하는 논쟁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데, 조금 더 큰 틀에서 보면 다소 의미 없는 것이기도 하다. 명예를 얻고 돈을 벌기 위한 노력의 과정에서 위대한 학문적 발전이 이뤄진 사례는 수없이 많다. 반면 지적 호기심 자체에 몰두해 평생을 가난에 시달리며 ...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을 위한 자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자극하는 기사를 썼던 흑역사가 떠올라 부끄러웠습니다. 이런 차분한 분위기라면, 조금 시간이 걸릴지라도, 한국도 “인류에게 큰 공헌을 한 사람”을 배출할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겼습니다. 특히 올해 노벨상처럼 앞으로의 노벨상도 상용화가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면 기초과학 응용 연구에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대 루트3비율인 활동지 A로 뫼비우스 띠 A를 만들어봅시다(루트3은 무한 소수이기 때문에 조금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까 만든 뫼비우스 띠 B보다는 만들기 어려울 겁니다. 양 끝이 쉽게 만나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활동지의 점선을 따라 접고, 무한한 상상력을 보태면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과학적인 원리가 크게 다르지 않을 거예요. 대신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조금 덜 익숙하겠죠. 지구의 생명체는 뜨겁고 화학적으로 원소가 풍부한 물이 솟아오르는 심해열수구에서 시작됐을 거라 추정됩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여러 얼음 위성의 안쪽에 지구의 심해와 비슷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왜 이런 일이?→결과 : 이쑤시개의 꺾인 부분이 조금씩 펴지며 별 모양이 완성된다. 이쑤시개가 부러진 부분 끝에 물을 살짝 떨어뜨리면 흡수된 물은 점차 다른 부분까지 퍼져요. 이렇게 물이 흡수되어 퍼지는 것은 ‘모세관 현상’ 때문입니다. 모세관 현상은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나도 못 풀었을 때도 그랬어요. 문제를 돌이라고 생각하면 두들겨서 깨진 못하더라도 조금 파이게는 할 수 있으니 그것 자체로 정말 재밌었습니다. Q. 수학을 좋아하는 이유는 뭐예요? 어렸을 때는 제가 연산이 빠른 편이라 정답을 잘 맞히는 재미로 수학을 좋아했어요. 지금은 모든 논리가 ... ...
- [킹앤포] 수학으로 암호 해독! 차분 공격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멘토는 고등학생 때 인터넷 홈페이지의 코드를 따라 써보고 코드를 조금씩 수정하면서 여가 시간을 보냈어요. 그러다 한 홈페이지에서 코드 버그를 발견했고, 그 버그를 수정하면서 자연스럽게 암호학에 빠져들었답니다. 그래서이번 호에서는 수학과 코딩을 좋아하는 여러분을 위해 권찬우 멘토가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하는 사람에게는 편할 거예요. 대신 2호선 말고 다른 노선에 있는 역을 찾기 위해서는 조금 시간이 더 걸리겠죠. 2호선 노선도에 시선이 먼저 가고, 그 다음에 자신이 찾아야 할 역이 있는 노선을 볼 테니까요.”찾아야 하는 역이 어디든 2호선 노선도를 먼저 본다면 그만큼 시간을 뺏길 수밖에 없다.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날아왔다. 우주가 시작된 지 10억 년도 되지 않았을 때의 별빛이다! 안드로메다보다 조금만 멀어도 별을 구분하기 어려운데, 대체 어떻게 이 먼 별빛을 구분했을까? 최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이 놀라운 현장을 다시 관측하며 허블 관측에서 놓쳤던 예상치 못한 비밀까지 밝혔다. 가장 먼 별빛까지 ... ...
- [특별기고] 수학적 사고력 고루 평가하는 수능 되길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능이 ‘수학적 사고력’을 고루 평가할 수 없게 해요. 수학적 사고력은 수학 영역 별로 조금씩 달라요. 대수 영역에서의 수학적 사고와 해석, 기하, 확률과 통계 각각의 영역에서 발현되는 수학적 사고가 다르거든요. 그런데 현재까지 발표된 수능 체제 개편안에는 대수, 미적분1, 확률과 통계만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