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락
천둥소리
우뢰소리
뇌성소리
뇌성
번개
우뢰
d라이브러리
"
천둥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식품에서 아이스크림·잼·마요네즈 등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로 이용된다
천둥
과 번개를 동반한 강우 적란운 또는 거대한 적운(積雲)에 수반하여 발생한다 매초 10m 이상의 격심한 상승기류가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대기의 상승이 대류불안정 상태로 되기 때문 뇌우에는 전선에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전하를 많이 집적하여
천둥
번개를 동반하며 그 아랫층에 많은 비를 머금고 있다 따라서
천둥
번개가 치거나 우박이 내릴 경우의 구름은 거의 모두 적란운이라고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대규모적인 용오름의 일종 알기 쉽게 아주 큰 회오리 바람의 일종이라고 생각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이 말은 ... ...
1. 스모그는 왜 새벽에 발생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대체로 날씨가 맑겠으나 곳에 따라 대기가 매우 불안정해 소나기 구름이 만들어져 가끔
천둥
번개와 더불어 소나기가 내리겠다.”이것은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에서 종종 듣는 말이다. 안개나 스모그는 새벽에, 소나기구름은 한낮이 지난 직후에 잘 만들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맴돌다 대원들에게 잡혔다. 야간채집장에는 초청장없이 찾아온 다른 곤충들도 있었다.
천둥
풍뎅이, 땅강아지 등은 요즘 좀처럼 보기 힘든 것들이다. 특히 여왕개미가 등장해 짝짓기를 함으로써 대원들의 눈을 즐겁게 했다.지구상에는 20만종의 나비와 나방이 있다. 이중에서 18만여종이 나방이다. ... ...
1. 피라미드가 에너지를 모은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급속히 빨려들어갔다. 그리고는 호수가 잠잠해졌다. 그러나 잠시 후 호수 바닥으로부터
천둥
소리와 같은 굉음과 함께 거대한 물기둥이 가운데에서 솟구쳐 올랐다. 흔히 용오름이라고 말하는 현상이었다.가장 빠른 지그재그 수로 위와 같은 세가지 사건에서 공통점은 바로 나선모양의 소용돌이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도마뱀 아파토사우루스아파토사우루스(Apatosaurus)보다 옛이름인 브론토사우루스(
천둥
도마뱀)가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아파토사우루스는 쥐라기 말(1억5천6백만-1억5천만년 전)에 살았던 초식공룡이다. 몸길이가 21m로 테니스 코트의 길이와 비슷했고, 몸무게는 25t으로 코끼리의 4-5배나 됐다. 작은 ... ...
물리- 물레방아 이용한 간이수력발전기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개, 나무젓가락, 발광다이오드, 고무밴드보너스 실험 야외로 놀러가거나 소풍을 갔을 때
천둥
번개가 치고 소나기를 만나는 경우가 있다. 번개가 칠 때 사람들은 무섭고 두려운 생각에 커다란 나무밑으로 숨게된다. 나무밑으로 피하는 것이 안전할까? 번개는 구름의 아래쪽에 있던 많은 양의 ... ...
물리- 번개와
천둥
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발생하여 한꺼번에 방전하는 현상이 그것인데 이 때 나는 빛이 번개이고 소리가
천둥
이다.소리보다 빛이 빠르기 때문에 '꽝' 다음에 '번쩍'이 아니라 '번쩍' 다음에 '꽝이다. 그 둘의 시간차이가 짧을 때는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것이고 시간 차이가 길 때는 먼 곳에서 일어난 것이다. 예를 들어 '번쩍'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경우 초속 2-6m의 풍속이 적당하며 천과 플라스틱에 합성수지의 대를 사용하더라도
천둥
치는 장마철이나 초속 14m 이상의 강풍에서는 날리면 안된다. 연을 날리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하늘에 새가 날지 않으면 연을 날리지 말라 는 격언이 안전 수칙처럼 지켜지고 있다. 새가 없으면 날리지 말라연을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동해 전기를 띠는데, 이 전기가 흘러서 소멸되지 않으면 정전기가 축적된다. 번개와
천둥
도 구름속에 축적된 정전기가 순간적으로 흐를 때 생기는 섬광과 소리로 설명할 수 있다.정전기의 발생은 습도와 깊은 관계가 있다. 사람이 카펫 위를 걸을 때 실내 습도가 10-20%일 경우 발생하는 정전기는 3만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