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락
천둥소리
우뢰소리
뇌성소리
뇌성
번개
우뢰
d라이브러리
"
천둥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항공기가 진행하면서 이 파동의 전후에서 순간적인 압력 변화가 있으므로 지상에서는
천둥
과 같은 소리가 들린다. 이것을 '소닉 붐'이라 한다. 각 나라에서 초음속 비행기가 자기 영토를 지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것은 이 소음 때문이다. 미국에서도 프랑스 비행기인 콩코드 운행을 부분적으로만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습지 한 가운데에서 악천후를 만나면, 대자연의 위력을 몸서리치게 경험할 수 있다.
천둥
이 울리고 번개가 치면 습지의 수목과 수면은 온통 현란한 빛을 번득이고 마치 땅이 뒤집어져 늪으로 빨려가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한밤중 동물들의 울부짖는 소리가 대지를 흔들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 ...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음원이라 불리는 카드나 악기를 필요로 하며 별도의 외부 접속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천둥
소리 파도소리와 인간의 목소리에 이르기까지 무궁무진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미디음악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중이다.매킨토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운드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방사능, 태양의 강력한 자외선, 분출하는 활화산에서 비롯되는 열, 천지를 진동하는
천둥
번개의 전기방전 등이 여러가지 유기물분자를 합성하는 에너지를 공급해주었을 것이다.또한 오파린에 의하면 원시지구의 대기에는 산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환원성 대기중에서 유기물분자가 합성됐을 뿐 ... ...
번개를 끌어내린 과학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비가 자주 내리는 여름철이 되면
천둥
과 함께 번개가 친다. 지금 우리는 그 원인이 전기라는 사실을 상식적으로 알고 있지만 옛날에는 그렇지 못했다. 번개의 정체를 밝힌 벤자민 프랭클린의 유명한 연날리기 실험을 소개한다. ...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창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나오는 것은 자연현상으로부터의 전파다. 자연 현상의 전파로서 우리에게 익숙한 것은
천둥
과 번개다. 다만 이것은 수 ㎞의 범위에서 나오는 전파로 강도도 세고 규모도 작지만, 우주전파는 대규모 현상으로 수십억 광년의 먼 곳에서 나오고 있으므로 강도가 무척 약하다는 것이 다르다.전파도 빛과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비맞은 산행길산 밑에서는 맑은 날씨였는데 산 정상에 오르면 갑자기 구름이 몰려오고
천둥
번개와 함께 소나기가 내린다. 흠뻑 젖은 몸으로 산을 내려왔을땐 다시 아무일도 없었다는 듯이 화창한 날씨이다. 이러한 경험은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한번쯤 있을 것이다.해륙풍과 같은 하루주기의 ... ...
'제2지망'이 일생의 학문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간혹 발생했다. 날씨가 좋을 것이라 예보하고 돌아온지 불과 몇 시간이 지나기도 전에
천둥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내린 적도 있었다. 그러면 다음 날 비행대대에 브리핑하러 들어가기가 정말 싫었다. 마치 죄인이 감옥소에 들어가는 기분과 같았다.때로는 일기예보가 잘 맞아 기분이 좋은 날도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③ 문서소프트웨어, 워드프로세서 사용법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15분마다 한 번씩 저장해야 하며, 컴퓨터를 잠시 떠날 때도 꼭 저장해야 한다. 그리고
천둥
이 칠 때는 5분마다 한번 씩 저장하는 것이 좋다.워드 프로세서를 잘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혹은 요령은 여러 사람들의 경험에서 나온 것들로서 워드 프로세서 초보자들에게는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과학자 '칼 잰스키'(Karl G. .Jansky)의 연구에서 시작된 것이다. '잰스키'는 공중방전(즉
천둥
)에서 생기는 전파가 장거리전파통신의 장해가 되기 때문에 자작의 안테나로 이 공중방전에 의한 전파를 관측하고 있었다. 그러는 중에 공중방전에 의한것이 아닌 전파가 매일 출현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