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개체"(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액스 아쿠아리움에서 본 수중동물4마리기사 l20221217
- 첫 번째는 황금넙치입니다.보통 넙치는 흙색과 비슷해서 위장을 합니다.그런데 황금넙치는 위장을 못해서 살아남지 못할 것입니다. 저는 황금넙치를 보며 신기해 했어요. 두 번째는 푸른바다거북입니다. 푸른바다거 ... 무지개송어는 가끔 왜래종으로 피해를 주긴 하지만 천적이 있습니다.그리고 알비노는 몸이 하얀 돌연변이인데 알비노는 개체수가 많은 ...
- 포켓몬 TMI 1포스팅 l20221207
- 맛있다5. 특성은 포켓몬의 고유 능력으로, 특성에 따라 갓캐와 쓰레기가 나뉜다.6. 포켓몬 실전은 뉴비가 보면 복잡한 요소가 많다. 개체값, 노력치, 결정력 등....7. 메깅이 물/땅 타입인 이유는 메기가 난리를 피우면 지진이 일어난다는 일본 설화가 모티브로 추정된다.8. 랜드르스는 땅/비행 타입이지만 쓸 수 있는 비행 타입 기술이 공중날기 ...
- 마인크래프트 란?기사 l20221113
- 포켓몬 아이템, 포켓몬은 네모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한글패치가 되있으며 9세대 포켓몬이 존재합니다. 종족값, 성격, 노력치, 개체값, 교배 등 포켓몬스터의 기본적인 육성, 전투 시스템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마인크래프트와 결합되어 있는 만큼 전투 이외에서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 일단 가장 큰 차이로 모든 포켓몬이 스폰 형식으로 나타나 볼을 던져 ...
- 턱이 없는 물고기, 다묵장어(Lethenteron reissneri)기사 l20221104
- 지속적으로 다묵장어가 출현하고 있지만, 북한강 중상류지역, 남한강 상류지역, 삽교천 등에서는 거 의 채집이 되지 않아 급격히 개체수가 감소하였거나 소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고 2013) 이러한 점을 토대로 2012년 대한민국 환경부에서는 다묵장어를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를 하고 있습니다. 2019년 국가생물적색목록에는 ...
- 지사탐 가을 캠프!! (지사탐 동창회)기사 l20221021
- 꼬리거미는 중간부분에 나온다고 합니다. 또한 더듬이 다리를 통해 암수 구분을 할수 있으며, 사진에 보이는 녹색 꼬리거미는 변이개체라고 합니다. 원래 꼬리거미는 갈색입니다. 이 외에도 까치깡충거미, 소나무거미, 대거미 등을 발견하였습니다. 거미 탐사도중 한국산 개구리와 송충이도 발견하였습니다. 혹시 탐사 도중 송충이를 발견한다면 털은 절대 ...
- 주브르14 - 221008 - 2탐사기록 l20221008
- 부전나비과 같은데 잘 모르겠어요.날개가 짧은 걸 보니 어린 개체 인가봐요! ...
- PPT 잘 만드는 법기사 l20221006
- '모핑'이라는 게 있는데(강추) 이게 잘 사용하면 멋집니다. 화면 전환 효과 중 하나로, 전 슬라이드와 다음 슬라이드에서 같은 개체가 움직이는 효과를 주는 겁니다. 5. 이것만큼은 주의하자 꼭 반에 10명 씩은 있는 경우인데 사진 하나 삽입해놓고 지식백과나 나무위키에서 설명을 복사+붙여넣기 한 경우입니다. 안 좋은 예) 이런 거 진짜 ...
- [다이노 월드-17 날카로움을 찬양하라, 바리오닉스기사 l20220928
- 학명을 따온 이름 윌리엄 j.워커의 이름에는 왈케리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5. 쥬라기 월드 관련된 곳에서 나오는 개체는 모두 같은 개체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바리오닉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중 매체로써의 비중이 상당히 높군요. 다음에도 흥미로운 기사와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 ...
- 위촉일발! 멸종위기동물들! TOP 11!기사 l20220924
- 양쯔강돌고래 출처: https://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 20마리 이하 생존, 또는 멸종. 세계에서 몇 안되는 강돌고래 중 개체 수가 가장 급감한 강돌고래입니다. 수질 악화, 배와의 충돌 사고, 강 부근 개발로 통해 많은 수가 줄어들었고, 현재는 어느 정도나 남아있는지 ...
- 생태계 교란종의 대해서 알아보아요!!기사 l20220924
- 식재료 목적으로 구입했으나 활용되지 못했고 댐으로 방류를 했는데 한 마리의 암컷이 10만 개의 알을 낳을 정도로 번식력이 좋아 개체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블루길은 알부터 먹어 토종물고기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2.미국가제 세계자연보전연명(IUCN) 지정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