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어린이과학동아
"
개체
"(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챌린지]생태교란종(14/8)
기사
l
20230417
새나 쥐 등을 잡아먹으면서 생태교란종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천적이 없었으나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가면서 천적이 생겨 조금씩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의 종만 소개했지만 사실 생태교란종은 더 종류가 많습니다. 여러분이 알고있는 생태교란종이 있나요? 이상 배유진 기자였습니다 ... ...
[챌린지]지사탐 발대식을 다녀와서(18/8)
기사
l
20230416
청개구리의 관한 이야기를 좀 했어요. 처음에는 청개구리의
개체
수가 적었는데 대원분들 덕분에 살기 좋은 서식지도 만들고 해서
개체
수가 늘었다네요!! 만약 이번년도에 지사탐에 신청을 하지 못했더라면 내년 12기에 신청하시길 바래요!! 또 깜빡하고 사진은 못찍었지만 연구원 두 분이 민물고기를 족대로 잡는 법을 알려주셨어요. 첫 ...
[챌린지] 이게 과연 옳은 방법일까요? (3/8)
기사
l
20230415
18년 8억원, 2019년 11억원, 2021년 28억원으로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안락사 방법은 한시적으로 효과가 좋습니다. 시행하면 길고양이의
개체
수가 훅 줄겠지요. 하지만 곧 있으면 다시 길고양이들이 번식을 할 것 입니다. 그러나 중성화 수술 방법은 효과가 나올때까지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나중에는 길고양이들끼리 번식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
[챌린지] EAAFP를 아시나요? (7/8)
기사
l
20230414
있을까요? 이동성 물새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번식기와 비번식기를 번갈아가 몇백km를 여행하는 것입니다. 즉, 이동성 물새는 전체
개체
군 혹은 대부분이 한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규칙적, 주기적으로 계절에 따라 이동합니다. EAAFP 주요 새종은 1.저어새 2.알락꼬리마도요 3.재두루미 4.넓적부리도요 5.검은머리 갈매기 6.호사비 오리등이 있 ...
[챌린지] 장수하늘소에 대해서 (9/8개)
기사
l
20230414
갈색입니다. 배는 잔털로 덮혀져 있고, 큰턱에는 가지가 1개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체
수가 없어서 서식지도 한정되어 있어서
개체
가 많이 없습니다. 하지만 하늘소자체가 해충이라고 합니다. 저는 장수하늘소가 해충이라는 사실을 처음 알았습니다. 장수하늘소의 한살이 유충 : 3~5년동안 유충으로 생활하고 애벌레의 색깔은 황백색입니 ...
[챌린지] 우리나라의 사슴벌레2 (8/8개)
기사
l
20230414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애사슴벌레는 암수가 다른 사슴벌레에 비해서 작습니다. 수컷의 큰턱은 큰
개체
에 있지만 작은
개체
들은 턱이 소실되어서 없습니다. 또한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을 합니다. 작을 수록 체집하기가 어려워 지겠네요. 2. 홍다리사슴벌레 ...
[챌린지] 우리나라의 사슴벌레1(7/8개)
기사
l
20230413
세로줄과 양옆에 검은색 점무늬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소형
개체
들은 큰턱이 굽지 않거나 안쪽에 이빨이 없을 수 있습니다. 빨리
개체
수가 늘어나서 두점박이사슴벌레가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되어 사육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다려집니다. 여러분 이번 사슴벌레에 관한 기사는 4가지 종류를 소개했지만 다음 기사에서는 더 많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마리모 키우기
기사
l
20230406
구입했을 경우, 여름철 대책으로 냉장고에 보관해도 좋다. 마리모는 일반적으로 물에 뜨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물에 떠오른
개체
가 아칸 호에서 발견되었다(2005년). 마리모가 광합성에 의해 기포(산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으로, 판매되는 마리모 중에도 광합성이 활발할 때 떠오르는 것이 있다. 이상 고민욱 기자 였음니다. 굿밤 하세요 ... ...
1달동안 도심의 하천에서 새들과의 만남
기사
l
20230402
겨울을 나는
개체
수도 점점 늘어나 예전보다 더 쉽게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이 말똥가리는 제가 탄천에서 3월 3일에 만난
개체
입니다. 두 번째는 원앙입니다. 원앙은 탄천에서 잘 보이지 않았지만 오늘 한 쌍을 발견하였습니다. 일년 내내 우리나라에서 살지만 흔한편은 아닙니다. 천연기념물입니다. 세 번째는 꼬마물떼새입니다. 정말 오랜만 ...
모도리3 - 230331 - 1
탐사기록
l
20230331
3월 31일 오늘 바람이 부는 초저녁 놀이터에서 발견했습니다주변에 있던 뒷산에서 갑자기 날아왔어요긴다색풍뎅이 같은데 도감을 찾아보니성충은 5월부터 8월까지 볼 수 있다고 합니다벌써 나타나는 것이 이상기후 때문에 그런 건지아직 어린
개체
인지 모르겠어요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