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개체"(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푼빌에서 이루어진 2024년 첫번째 현장교육 - 겨울철새 탐조기사 l20240129
- 있어야 합니다. 날지못하면 무리에서 낙오되어서 굶어 죽을수도 있습니다. 두루미의 개체수는 점점더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생존개체수는 2,800마리에서 3,300마리로 판단됩니다. 우리나라에 쇠재두루미, 캐나다 두루미, 시베리아 흰두루미, 두루미, 재두루미, 흑두루미, 검은목두루미 7종이 오는데 쇠재두루미가 가장 보기 어렵다고 합 ...
- 눈깔괴물 주의보!포스팅 l20240124
- 눈깔괴물의 특성을 말해보겟습니다.인간은 예로부터 눈깔괴물을 피하게 진화했지만 오타쿠처럼 눈깔괴물한테 붙는 인간이 생기자 개체수는 늘어만 갓습니다.왜냐하면 눈깔괴물은 인간을 새뇌해서 끌어온 뒤 눈깔괴물 바이러스가 퍼지게 해서 눈깔괴물로 만드는 방식입니다.모습은 어떤지 살짝 보여드리죠. 이제 말로 설명할겟습니다.일반인한테 눈깔괴물이 접근해서 눈깔빔 ...
- 농약이 끼치는 피해기사 l20240107
- 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 여름에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에 노출된 꿀벌 계체가 벌집을 오염시키면 그해 11월에 새로 태어나는 개체들에 면역력이 떨어져 응애나 바이러스에 더 취약해진다고 합니다. 그럼 농약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생물학 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생물학 방제란 해충에게 해로운 곰팡이, 세균 ...
- 샥스핀의 불편한 진실기사 l20231228
- http%3A%2F%2Fwww.sputnik.kr%2Farticle_img%2F202208%2Farticle_1660788368.jpg&type=sc960_832 위 사진의 주인공은 바로 귀상어 (망치상어) 입니다. 상어 개체들 중 가장 멸종에 가깝기로 손꼽히는 종이죠. 앞에서 말했듯이 어부들은 무슨 상어인지 절대 신경쓰지 않고 일단 ...
- 새사모 - 231107 - 3탐사기록 l20231107
- 멧새입니다. 강원 정선 타임캡슐공원에서 관측한 개체입니다. ...
- 온새미로 - 231105 - 1탐사기록 l20231105
- 미끄럼틀 지붕 밑에서 비 피하는 중.2 쇠박새: 비를 딱히 피할 생각 없어 보임6 직박구리20 참새: 단체로 물 마시고 있음8 되새: 저번 주 개체 + 신규 도착 개체. 비 피할 생각 없이 나뭇잎의 물을 마시는 듯 보임.17 참새목: 16 되새로 추정, 막 도착한 무리로 보임. 멀리서 와서 단체로 기존 되새 무리 쪽으로 날아감.1: ...
- 알럽곤충 - 231030 - 1탐사기록 l20231030
- 애월 숙소 근처 숲에서 찾은 바람골입니다. 안에 박쥐 여러 개체가 날아다니는데 사진이 안찍혀 서식지 사진을 남깁니다. 제가 근처로 가서 놀란듯 합니다. 밑에는 박쥐 똥이 많습니다. ...
- 아홀로틀을 소개합니다기사 l20231029
- 귀여운 아홀로틀의 주인공!분홍색 또는 크림색이며 눈이 까매요. 흑색 아홀로톨입니다. 몸 전체가 흑색을 띄어 다른 색깔 개체들과 비교했을때 훨씬 더 도롱뇽스러운 외모를 가지고 있어요. 아홀로틀은 주사를 맞으면 기절하지 않고 충격적으로 모양이 변해요. 여기 까지가 끝입니다. 힘들어 보여도 키우기에 실천해보세요 ... ...
- 과학초보 - 231029 - 2탐사기록 l20231029
-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흰뺨과 물닭 개체수가 엄청 많음청둥오리가 다시 보임 ...
- 온새미로 - 231029 - 1탐사기록 l20231029
- 4*******참새목 2******** 집비둘기 12*: 구애 소리 들림물까지 5**: 한 마리가 뭘 먹음.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붉은 계열의 열매.박새 7***: 개체수 정확치 않음. 쇠박새와 혼동하여, 일부 쇠박새는 박새로 세었을 수 았음.진홍가슴 1****: 첫 기록. 수컷. 사진 있음. 덤불에서 먹이활동, 잠깐씩 밖으로 나왔음. 경계심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