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뉴스
"
해부학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자면서 이 질환이 생겼을 것으로 추정했다. 파올라 빌라 연구원은 “네안데르탈인의
해부학
적 증거 외에도 모스세리니 동굴에서 확인한 고고학적 증거는 네안데르탈인이 수생 자원을 이용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 ...
해부학
을 가르치는 선생님
팝뉴스
l
2019.12.27
최근 트위터 등에 공개되면서 큰 화제를 모았다. 사진 속의 여성은 학생들에게
해부학
적 지식을 가르치는 선생님이었다. 학생들이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도록 ‘작은 이벤트’를 준비했다고 설명한다. 물론 효과는 만점이었던 것을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
2019.12.14
생기는 이유다. 약 70여년 전 미국 예일대 의대
해부학
교실의 제임스 해밀턴은 미국
해부학
회지에 남성 호르몬 자극이 통상적인 대머리의 선행 요인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사춘기 이전에 거세당한 남자 아이는 남성형 탈모가 드물다는 것이다. 하지만 탈모가 있다고 남성성이 더 강한 것은 ... ...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
과학동아
l
2019.12.06
척추.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파충류와 포유류는 둘 다 네발 동물이지만
해부학
적으로는 차이가 크다. 특히 파충류의 척추는 크기와 모양이 균일한 데 비해 포유류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복잡한 척추구조를 갖추고 있다. 스테파니 피어스 미국 하버드대 유기체및진화생물학과 교수가 이끄는 ... ...
인공지능 로봇으로 무릎 인공관절 수술 성공
연합뉴스
l
2019.11.27
있다. 영국 한 의료기기 제조업체가 만든 나비오는 인공지능 기계 학습, 증강현실,
해부학
, 영상 융합 등 첨단 기술을 갖춘 로봇이다. 자외선 카메라가 10여 개의 센서와 상호작용을 통해 의료진의 미세한 움직임과 환부를 면밀히 분석하고 실시간 정보를 증강현실 기술로 제공한다. 나비오는 ... ...
손상된 근육세포 재생 돕는 인공근육 3D프린터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바이오프린팅은 살아있는 세포가 포함된 생체적합 바이오잉크를 이용해 고유한
해부학
적 특징과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조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근육은 세포가 한 방향으로 배열된 근섬유 다발 형태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실제 조직에서 세포가 자랄 수 있도록 둘러싼 지지체인 ... ...
[주말 고고학산책] 2000년전 뼈로 삼국시대 얼굴 되살린다
2019.11.16
먼저 복원하기로 하고, 연구실로 머리뼈를 보냈습니다.” -김이석(가톨릭대 의대
해부학
교실 부교수) “받은 머리뼈를 여러 번 컴퓨터단층촬영(CT)하고 얻은 2차원 촬영 영상을 쌓아 3차원 머리뼈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머리뼈 모델에 피부 두께를 나타내는 막대인 ‘페그’를 설치했습니다. ... ...
거대 공룡이 뇌를 식힌 방법은 침
과학동아
l
2019.11.07
콧구멍과 입 속 수분을 증발시켜 뇌의 온도를 조절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해부학
기록’ 10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 장치로 공룡의 후예인 조류와 파충류에서 동맥과 정맥의 혈액의 흐름을 추적했다. 그 결과, 눈, 코, 입 등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 ...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50년만에 과학적 복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복원했다. 특히 이빨이 없는 데이노케이루스가 질긴 식물을 먹을 때 필요한 기관을
해부학
적 지식을 바탕으로 추정했다. 데이노케이루스는 주걱 같은 주둥이 끝 표면에 거친 혈관 구멍이 많다. 새 부리 같은 딱따가고 날카로운 각질 부리를 지닌 ‘각룡류’나 하드로사우루스류의 특징과 비슷하다. ... ...
[프리미엄리포트] 2100년 현존 언어 절반 이상이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0.05
때문이다. 대한
해부학
회 용어위원으로 의학 용어를 다듬고 있는 정민석 아주대 의대
해부학
교실 교수는 “어렵고 낯선 한자 의학 용어 대신 쉬운 우리말 의학 용어를 쓰는 건 전문가인 의사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환자들을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과학 용어에는 특히 일본에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