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뉴스
"
해부학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생물학의 선구자 시드니 브레너 박사 5일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280만 년 전 아프리카 고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를 1920년대에 연구했던
해부학
자이자 인류학자 레이먼드 다트도 있었다. 하지만 브레너 박사는 세포보다 작은 생명 내부 작동에 관심을 갖고,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영국 케임브리지대 분자생물학연구소(MRC LMB)에 ... ...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03.06
UDE,Matthias Gunzer, Anika Grüneboom 단단한 뼈 속에서 새로운 종류의 미세혈관이 발견됐다.
해부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마티아스 군제르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 ...
손이 사포와 실크 구별하는 비결은 ‘뉴런 패턴’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교수는 뇌파로 움직이는 로봇팔을 개발한 니콜라스 하소포러스 유기체생물학및
해부학
과 교수와 함께 실제 손과 발처럼 움직이고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의수와 의족을 개발하고 있다. 생각만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손에 달린 센서로 얻은 촉각정보를 뇌에 전송하는 원리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
2019.01.27
유인원, 인간의 조상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물론 비교생물학적으로 여우원숭이의
해부학
적 구조나 행동 양상이 초기 영장류 연구에 중요한 힌트를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여우원숭이는 인간의 조상으로 간주해서는 곤란합니다. 사실 원시적인 영장류라는 용어도 조금은 ... ...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신임 회장에임태환 교수
2019.01.25
3년간이다. 의학한림원은 부회장에 박병주 서울대의대 예방의학 교수, 감사에 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
교수, 노성훈 연세대의대 내과학 교수를 각각 선임했다. ... ...
국산 정밀 수술로봇 '닥터 허준' 전임상 최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임상의학연구센터. 신동아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의대
해부학
실습용 시신(카데바)의 허리 부분 안에 긴 관 형태의 의료 기기 ‘케테터’를 넣으며 말했다. 디스크 부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 카테터는 디스크나 협착증 등 염증에 의해 손상된 신경에 약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교수는 대사질환과 퇴행성질환을 노화의 불가피한 측면이라고 치부해서는 안 된다며,
해부학
과 생리학의 관점에서 인류진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를 실생활에 반영한다면 불일치 질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불일치 질환이 만연하면서 건강수명이 정체되거나 줄고 있는 반면 의학의 ... ...
뇌에서 발견한 인간 진화 흔적 '장미열매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설치류의 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논문 제 1저자인 에스제터 볼도그 세게드대
해부학
과 연구원은 “쥐 등은 초기 포유류와 가까운 야행성 설치류다”며 “설치류에는 없는 신경세포가 인간에서 확인되면서 뇌진화과정 중 어떤 기능을 새롭게 갖게 됐는지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 ...
과학적 신원확인으로 6.25 전사자 가족 품으로...
과학동아
l
2018.06.22
약 4만 명의 DNA 시료를 확보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정강이뼈와 종아리뼈의
해부학
적 위치를 확인하고 있다. 발굴 이후에는 전통주 한 잔과 명태를 올려 약식 제례를 지내고 이후 신원 확인을 위해 감식소로 보낸다. -사진 제공 남윤중 AZA 스튜디오/과학동아 DNA 검사에도 한계는 있다.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재구성할 수 있는 인지유연성 등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오기하라 교수는 “소뇌의
해부학
적인 차이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사회적 능력에 중요한 차이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뇌 구조의 차이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닌 호모 사피엔스가 지금까지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라고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