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스페셜
"
변형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정자가 목표 잃은 채 빙빙 도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0
원리를 보인다”며 “정자 편모는 우리 몸의 다양한 편모 중 하나기 때문에 튜불린
변형
은 편모와 관련한 다른 기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현존 최고의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선발대회
과학동아
l
2021.01.09
아니다. 강승식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 교수는 “언어는 사회문화에 따라 의미가
변형
되기도 하고,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거나 기존의 단어가 사라지기도 한다”며 “이 때문에 자연어처리 AI를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만약 이런 데이터를 확보하지 ... ...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10월 미국에 이미 퍼졌을 수도" 유전자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헬릭스 연구부국장은 “변이를 확인하면 미국에 변이가 들어왔는지, 들어와 여러 번
변형
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디언은 “변이가 영국에 더 널리 퍼져 있지만 변이가 미국에서 시작된 다음 영국으로 퍼졌을 가능성도 있다”고 기원에 의문을 제기했다. 미국에서도 숨겨진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사육방식은 지난 1986년 '광우병'이라 불리는 소해면상뇌병증이 발생한 주 원인이 됐다.
변형
된 단백질을 가진 소나 양의 부산물을 사료에 갈아넣으면서 이를 먹은 가축들이 원래는 감염되지 않아야 할 병에 전염된 것이다. 인공 고기 연구는 기존 도살육이 가진 단점은 없애고 육류의 맛과 ... ...
국내 상륙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떤 특징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스파이크 단백질의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이 삭제된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을
변형
시킬 가능성이 있다. 라빈드라 굽타 영국 케임브리지대 임상미생물학과 교수는 렌티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을 없앤 스파이크 단백질을 넣어 감염률을 측정한 결과 기존보다 ... ...
사이언스 "영국 코로나19 변이체 감염력 높은 이유는 4개 돌연변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스파이크 단백질의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이 삭제된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을
변형
시킬 가능성이 있다. 라빈드라 굽타 미국 케임브리지대 임상미생물학과 교수는 렌티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에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을 없앤 스파이크 단백질을 넣었더니 감염률이 2배 높아졌다는 ... ...
[소재의 미래]강도와 연성 두마리 토끼 잡은 합금소재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잘 늘어나는 성질인 연성과 전기전도도 등은 반대급부로 떨어진다. 강도를 높이는
변형
이 일어날수록 다른 성질에는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상반특성'이라고 불리는 '트레이드 오프' 현상은 금속 여럿을 섞어 만드는 합금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난다. 한승전 한국재료연구원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인공지능(AI) 반도체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위생품, 담배와 백신, 마스크, 진단기기를 평가하는 기술 플랫폼을 구축하고, 유전자
변형
식품(GMO)이나 세포 배양육 등 새로운 식품 원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내년 1월 시행계획을 수립해 이 같은 내용을 추진한다. ■ 한국뇌연구원은 대한수학회와 국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500회)항우울제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을까
2020.12.15
우울증이나 중독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중독 역시 뇌 보상회로의
변형
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이보가인이 이를 복원하는 게 치료 효과를 낸 것일 수 있다. 이보가인은 특히 알코올중독이나 마약중독에 효과가 커서 한때 프랑스에서는 치료제로 쓰이기도 했지만, 부작용이 심해 지금은 ... ...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개발한 고출력 에너지 발전소재는 마찰대전 특성이 큰 고분자 소재를 다양한 형태
변형
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새롭게 디자인해 기존 소재 한계를 극복하고 고출력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며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자가발전 소재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