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스페셜
"
변형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우리 조상이 고대에 기생충에 노출돼 우리 게놈(유전체)이
변형
됐고, 그 결과 오늘날 다양한 면역 반응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추옹 교수는 “우리 게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이러스들은 우리의 목숨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명활동과 진화를 수천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완전 종식 어려운 코로나19, 결국 풍토병 되나
2020.10.19
마찬가지로, 환경 조건이 코로나 바이러스 전염성을
변형
시킬 수 있다. ※ 참고자료 https://www.sciencedaily.com/releases/2020/10/201015101820.htm ※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736728&memberNo=36405506&navigationType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힘을 줄 때만 색이 변했지만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당기거나 누르고 구부리는 다양한
변형
에서도 색이 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스피로피란 기반 응력 감응형 스마트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민감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고 분석을 통해 감도 향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 ...
'편집이냐 교정이냐'부터 ‘디자이너 베이비’까지…말 많은 유전자 가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조작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어 윤리적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주장이 이어졌고 유전자
변형
이라는 중립적인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유전자가위도 마찬가지다. 유전자 편집이라는 용어는 생명체의 일부를 잘라내고 이어붙이는 뉘앙스로 읽혀 윤리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때 윤리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식량 작물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사람의 삶을 바꾸는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O)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성에 무게를 둬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결정한 듯하다"며 ... ...
유전자 가위 개발한 여성 화학자 샤르팡티에·다우드나 노벨화학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성장호르몬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억제해 고양이보다 작은 미니 돼지를 만들었다. 유전자
변형
작물(GM)을 대체할 병충해에 강한 쌀과 무르지 않은 토마토가 개발되기도 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화학·문학·평화·경제 분야에 걸쳐 차례로 ... ...
안전성·최고 효율 모두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내부에 미세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이유로 이온 크기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을 지목했다. 지난해 11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던 논문에서 ‘메틸렌디암모늄’이라는 양이온 물질을 사용해 효율 높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만들었는데, 이 물질이 마치 건물에 커다란 바위나 기둥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큰 도움이 되었다. 다윈은 비글호 항해를 끝내고 영국으로 돌아온 직후인 1837년에 종의
변형
에 관한 노트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1842년에는 35쪽짜리 진화론에 관한 개요를 썼고 이를 바탕으로 1844년에는 책자 분량의 원고로 정리했다. 그러나 대중적으로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후로는 따개비의 생태를 ... ...
[AI대학원 가이드] (중) AI교수 5인이 말했다 "AI대학원에선 이런 공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시간이 달라져 촬영 영상은 서로 다른 좌표계에서 얻어진다. 이 서로 다른 영상을
변형
해 하나의 좌표계에 나타내는 처리기법이 바로 '영상 정합'이다. 두 영상 모두에 동일하게 등장하는 남대문이 서로 대응되는 것을 찾을 수 있다. 영상 간 차이가 크다면 이런 대응관계를 찾기 힘들다. 이때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