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6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가속기 연구와 기술의 근간이라고도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MLL은 지금까지 부피가
큰
형태로만 개발되어 매우 작은 공간에서 적은 빛을 다루는 칩 규모 나노광학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리튬 니오베이트 기반 '소형 모드 잠금 레이저'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MLL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금화조의 구애에서 발견한 도파민 분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1
잘 적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무리의 새와도 마찰 없이 잘 지낸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구애를 할 때는 좋은 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다. 제시 골드버그 미국 코넬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음주, 노래, 구애와 같이 뇌의 보상회로를 자극하는 각 활동이 이뤄질 때 ... ...
[과기원NOW] KAIST, 미생물 세포 공장 구축에 활용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9
기기나 생명체에 예측하지 못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차폐 필름은
큰
면적의 유연하고 가벼운 성질로 맥신-탄화 붕소 혼합 용액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중성자 차폐 코팅막을 입힌 나일론 복합체는 2만번 이상의 굽힘 테스트에서도 최대 98%까지 원형을 유지했다. 연구 결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피부 이식, 수술과정에서 혈류 유지 등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성형외과의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미세수술 기법이 발전하는 등 전상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연간 1200만건이 넘는 미용성형수술이 행해진다는 통계 자료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에선 초식동물 개체수가 색물 생태계 회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초식동물을 직접적으로 해치지 않더라도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 생태계 복원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제대로 공략하지 못한다. 앞으로 KDM5D를 공략하는 약물을 개발하면 남성 대장암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방광암의 경우 Y염색체 소실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남성 방광암 환자의 암조직에서 Y염색체가 없는 암세포를 생쥐에 넣어주면 Y염색체가 있는 암세포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팔 전쟁 해법은...'집단적 감정'은 어떻게 움직일까
2023.10.28
분쟁이 일어난 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싸워서 이기는 것이 우리 집단에게 더
큰
이득이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많은 사람들이 분노를 느끼게 되지만 평화적인 해결이 장기적으로는 더 중요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분노는 수그러들고 상대방을 용서해보려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결국 1972년 스톡홀름 회의에서 환경 잔류 가능성이
큰
DDT를 비롯한 유기농약에 대한 규제가 시작됐다. 우리도 1971년부터 DDT를 농약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했고 1979년부터는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DDT의 사용이 금지되면서 빈대‧이‧벼룩의 퇴치가 어려워졌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4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백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HIV가 변이를 워낙 잘 일으키기 때문이다. 백신으로 예방을 하고자 하는 것은 병원체를 미리 경험하게 함으로써 다음에 실제 병원체를 만났을 때 면역력을 더 잘 발휘하게 하는 방법이다. HIV는 변이가 워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당근에 대한 기록이 나오고 17세기 네덜란드에서 품종개량으로 나온 주황색 당근이
큰
인기를 끌면서 세계로 퍼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우리가 익숙한 주황색 당근을 ‘서양 그룹’이라고 부른다. 지난달 학술지 ‘네이처 식물’에는 세계 각지에서 모은 야생 및 작물 당근 630개 유전자원의 게놈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