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스페셜
"
큰
"(으)로 총 3,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이보게인과 같은 환각작용이 가장 크고 오래가는 약물이 사회보상학습 변화에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였다. 사이키델릭 약물에 의한 사회성학습 재활 효과의 분자기전 모델. 네이처 제공 다양한 환각제들이 어떻게 동일하게 사회학습을 증가시킬까. 사회성학습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에 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벽돌이고 헤미셀룰로스와 리그닌은 벽돌을 고정하는 시멘트다. 그럼에도 둘은
큰
차이가 있는데 리그닌은 붙이는 힘이 훨씬 강력할 뿐 아니라 방수 기능도 있다. 관속식물, 물과 영양분의 이동통로인 물관과 체관이 있는 식물은 많은 세포가 리그닌 시멘트로 두꺼운 2차벽을 만든 세포벽을 지니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가능성은 또 얼마나 될까. 내 사람을 지키기 위해 다른 누구를 해하는 행위는 결국 더
큰
업보로 다시 돌아오기 마련이다. 벌써 각종 ‘진상’들의 존재로 인해 망가진 사회가 이런 사회에서 또 다른 진상들을 견디며 살아가야 할 아이들의 슬픈 미래가 어른들의 죄가 작지 않음을 말해준다. 우리 ... ...
[기후위기와 산림] 전세계 75% 사막화 진행...미세먼지로 되돌아온다
2023.07.19
수 있을 것이다. 중력이산(衆力移山),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을 정도의
큰
힘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 모두의 지혜와 관심이 모인다면 사막화 지역에 새로운 산을 만들어내는 힘이 생길 것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의 도전과 한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이번 호에 실었다. 과학자들은 AI가 약물 개발과 화학 분야에서 신약의 발견과 상용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의학 분야에서는 의료 로봇과 진단 AI 등이 광범위하게 개발되고 적용중이다. 그러나 편견과 차별에 대한 우려를 다룬 논문들도 소개됐다. 메튜 디캠프 미국 콜로라도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
2023.07.15
있었다. 두통이 조금만 밀려와도 덜컥 불안해하며 신경 쓰는 탓에 결과적으로 더
큰
두통을 얻는 악순환을 겪고 있었다. 신체적으로 밀려오는 통증과 나의 감정적 반응(짜증, 화, 두려움)은 별개이며 신체적인 고통이 반드시 마음의 고통이 될 필요는 없음을 알게 되었다. 내가 느끼는 통증이 곧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관광 보편화 등 사람과 동물이 마주칠 기회가 잦아지는 것이 새로운 감염병 탄생의 가장
큰
이유다. 넓게 보면 인간의 탐욕이 환경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새로운 감염병 등장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더 즐겁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 환경을 변화시키지만 그 변화는 결국 자신들에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보이기도 했다. 너그러운 직원들은 심한 부탁을 해도 크게 싫어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큰
부담 없이 부릴 수 있을 거라고 믿는 편이었다. 그런 반면 자신의 부하직원이 아닌 이타적이고 너그러운 직원이라는 평가를 받는 가상의 인물에 대한 시나리오를 주고 이 사람에게 과도한 요구를 하는 것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인체발암성이 과학적으로 분명하게 확인된 것은 아니다. 프랑스 연구의 규모가 상당히
큰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체발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분석 대상의 규모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소의 식단과 생활방식에 대한 개인의 기억은 불확실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명백한 과학적 증거로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지도하는 입장이 된 지금에도 가끔 스스로에게 묻고 대답을 되뇌이게 할 정도로 아직
큰
울림을 주고 있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