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밤을 새워도 지치지 않는다면 적성에 맞는 거예요. 그 다음엔 상상력이 필요해요. 내가 만들고자 하는 큰 그림을 짜고 처음부터 끝까지 단계를 구상하고 필요한 명령어를 조립할 수 있어야 하죠.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조언해 주세요.언젠가 소프트웨어 전시회에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어느 정도 갖춘 것 같습니다. 이제는 로보트 재권V를 똑똑하게 만들 때가 됐습니다. 다음 호에서는 요즘 각광 받고 있는 로봇의 인공지능(AI)에 대해 알아보고, 로보트 재권V가 움직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간단한 수식으로 에너지를 대략적으로 추정해 볼 수는 있다”고 말했다. 계산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멈춰있는 60kg의 사람을 초속 1m로 밀어내기 위한 운동량은 이 둘을 곱한 60kg·m/s가 필요하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광자가 지닌 에너지로 60kg·m/s만큼의 충격량을 가할 수 있다면, 빛으로 ... ...
- [미국유학일기] 국적은 달라도 K팝 댄스로 통한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50분 쯤 모여서 12시 정각이 되면 생일 주인공의 방문을 부술 듯이 두드리기 시작한다. 그 다음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며 주인공을 샤워실로 모시고(?) 가 샤워기를 틀고 물을 뿌리는 것이다. 내 생일 때도 친구들이 함께 해줬는데, 눈물이 날 정도로 기뻤다. 물론 물에 홀딱 젖었지만.이렇게나 정이 ... ...
- 시범경기. 상대의 허를 찌르는 전략 뒤에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투수가 나와 더이상 점수가 나지 않게 막아 경기를 마무리한다. 탬파베이의 전략 뒤에는 다음과 같은 통계 자료가 영향을 미쳤다. 탬파베이의 중간계투 라인 스태닉은 강력한 구위를 지닌 선수지만 루 상에 주자가 없을 때 주자를 내보낼 확률이 0.580인 반면, 주자가 있으면 0.690, 주자가 득점권에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수학자가 직접 만든 미해결 문제부터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문제, 수학 퍼즐까지!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온라인에서 댓글로 아이디어와 풀이를 올려 수학 문제를 힘을 ... 노하우는 무엇일까요?폴리매스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가 많습니다. 얼른 해결해서 다음 멘토링에 참가하세요 ... ...
- [과학뉴스]"포항지진, 지열발전소가 촉발"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밝혔다. 지열발전은 지하 4km 이상 깊이에 구멍을 뚫어 고압의 물을 주입해 지열로 데운 다음 여기서 나온 수증기를 빼내 발전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이 같은 지열발전 방식이 포항지진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4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포항지진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진행하고 있다.역분화를 통해 우리 몸의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한 만능세포를 만든 다음, 이를 이용해 우리가 원하는 특정 세포를 만드는 건 생각보다 까다롭다. 1대 1로 바로 ‘변신’시키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원하는 표적조직의 세포를 얻기에는 훨씬 수월하다. 물론 한계도 있다. 김 교수는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천구에 투영된 궤적, 즉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길인 궤도를 알아낸다. 그런 다음 연구하려는 소행성의 궤도가 어떤 모양인지, 몇 년에 한 번 공전하는지, 지구와 언제 가까워지는지 계산한다. 이로부터 어느 시점에 우주선을 쏜 뒤, 어떤 경로로 소행성까지 보내야 가장 적은 연료로 탐사할 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원자 12개 당 평균 1개의 헬륨 원자가 존재합니다. 가장 가벼운 원소인 수소, 그리고 그 다음으로 가벼운 헬륨, 그 외 무거운 원소 순으로 개수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1940년대까지는 왜 우주에 존재하는 원소들이 이런 분포를 가지고 있는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1940년대 가모프는 제2차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