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 시그널]가장 많이 쓰이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κ-평균 클러스터링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소개에서 방법을 익히고 직접 k-평균 클러스터링에 도전하세요! 그림을 따라 이해하면 그다음에는 좌표평면에 마음대로 점을 찍고도 클러스터링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참고자료 양성봉 ‘알기 쉬운 알고리즘’, 이시다 모리테루, 미야자키 쇼이치 ‘알고리즘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공급원으로 사용하고, 핵에너지나 태양광 패널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다음 목적지는 화성이겠죠? 화성은 달과 같이 대기나 자기장, 물 등이 없지만 한때 생명체가 살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화성 탐사선이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면 적당한 조건이 갖춰진 위치를 찾아 살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뒤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학습시키고 쥐가 내는 소리와 다른 소음을 구분하게 했다. 그런 다음 쥐의 초음파를 초음파 사진으로 바꿔 이미지로 만들었다.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이미지 인식 AI 알고리즘으로 초음파 이미지를 해석하기 위해서였다.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딥찍찍을 이용해 쥐의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쫓아가는 느낌이 들고, 눈앞에는 항상 깨야 할 아버지의 기록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다음에 러시아에 가면 세르게이의 아들인 이고르에게도 아버지가 우주인일 때의 장점이 무엇인지 물어봐야겠다. 우주에 가고자했던 간절함 모든 일을 완벽하게 준비하고, 모든 규칙을 교과서처럼 지키는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따랐다. 공부 시간뿐만 아니라 공부 양도 정해서 지켰다. 정해진 양을 다 풀면 쉬고 그다음 날에는 좀 더 양을 늘렸다. 저녁 10시 이후와 일요일에는 공부하지 않고 쉬었다. 수능 한 달 전에는 수능 당일 일정에 맞춰서 하루 일정을 소화했다. 박 씨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공부하기보다는 일정을 짜서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지름이 최소가 되도록 점을 골라야 해요. 클러스터링 개념을 충분히 이해했다면 다음 시간에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이 어떻게 최소 지름을 찾는지 알려드릴게요. 그럼 전 견우를 도와주러 이만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의미를 지닌 ‘ellipse(타원)’라는 도형이 등장합니다. 아폴로니우스는 다음 그림과 같이 기울기가 다른 평면으로 원뿔을 잘랐을 때, 이 평면과 원뿔 밑면의 각이 모선과 밑면이 이루는 각보다 작은가, 큰가, 같은가에 따라 도형을 분류했습니다. 모선은 원뿔의 꼭짓점과 밑면의 원둘레의 한 점을 ... ...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부르릉~.” 반려견이던 ‘뭉치’의 주인에 대한 마지막 기억은 자신을 떠나는 자동차 소리예요. 슬퍼할 새도 없이 뭉치는 로드킬부터 개 사냥꾼까지 시시 ... 관객들과 자주 소통해야 하는 대중적인 예술가가 8년에 한 편씩만 만들면 안 될 것 같아요. 다음엔 더 빨리 찾아올게요.(웃음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알에 들어 있던 영양분(난황) 덕분에 따로 먹이를 먹지 않아도 살 수 있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김 연구사는 “바다 물고기들이 먹이로 하는 알테미아(새우처럼 생긴 절지동물로 영양분이 많다)나 요각류(동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 마린 스노우(해양생물의 죽은 사체나 배설물이 썩어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2억7000만여 건의 정보와 4000만 건의 논문, 9000만 건의 특허를 비교 분석했다. 그다음 연구팀은 각각의 불평등지수를 ‘지니계수’로 정량화했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균형을 나타내는 수치로, 0이 완전 평등, 1이 완전 불평등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위키백과와 논문, 특허 모두에서 축적된 지식의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