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설계됐다”며 “최근에는 AI를 활용해 눈코입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 분장의 위치가 훨씬 자연스러워졌다”고 설명했다. 페이스ID는 적외선으로 점 찍어 얼굴 인식최근 출시된 애플의 ‘아이폰X’에는 얼굴을 인식해 잠금화면을 해제하는 페이스ID 기능이 탑재됐다. 스마트폰에 딥러닝 기반 3D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Expanding Universes)’이기 때문에, 내용을 이해할 수만 있다면 그의 말대로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말에 희망을 품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한때 논문을 공개한 웹사이트가 먹통이 됐다. 기자 역시 평소 그의 유명세가 아닌 연구 업적이 궁금했던 터라 논문을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 사이의 토론에 대한 귀하의 도움에 최선의 감사를 표합니다. 생물체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오랜 논쟁은 당신이 제공한 지식과 통찰 덕분에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그 보답이라 할 수 있을지 모르나, 만일 어떠한 상황에서든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언제든 연락 주시기를 바랍니다 ...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투입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또 카메라와 GPS를 이용해 조난자의 상태와 위치를 본다. 연구진은 “구조견이 장시간 구조 활동에 참여하면 피로와 집중력 저하로 수색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며 “구조 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입는 형태의 슈트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이번 지진의 진앙에서 불과 2k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지열발전소 건설 공사가 이번 지진의 방아쇠를 당겼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 동안 단층에 누적된 힘이 인위적인 공사의 영향으로 분출되면서 지진이 발생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열발전소는 땅속의 열을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고 있다. 물론 일란성쌍둥이처럼 거의 똑같은 얼굴도 있지만, 이들조차도 점의 개수나 위치 등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최소 한 가지는 갖고 있기 마련이다. 사람의 뇌는 다른 사람의 얼굴을 알아보는 데 약 70ms(밀리초·1ms는 1000분의 1초) 걸린다. 이렇게 찰나의 순간에 뇌는 어떻게 상대방의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람이 정한 다양한 특징을 입력으로 사용했다. 활로의 수, 사석의 수, 불가능한 수의 위치 등을 일일이 점수로 매겨 입력값으로 썼다. 알파고 제로는 사람이 정한 특징값을 기반으로 함수를 만들 때 생길 수 있는 오류를 배제하기 위해, 흑백 돌의 바둑판 영상을 그대로 입력했다. 이때 원시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폭포 연구소(SAFL)는 바로 미네소타 주 최대 도시 미니애폴리스에 미시시피 강을 끼고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력, 수생태계 등 하천 연구에 특화SAFL은 미국 미네소타대 소속으로 1938년 설립됐습니다. 이름에 ‘폭포(falls)’가 들어간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 물과 관련한 연구에 특화돼 있습니다. 풍력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입자와 반입자 상태를 동시에 가지는 것은 확인했으나, 위치를 교환할 때 함수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해 진짜 마요라나 페르미온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과학동아 2017년 1월호 참조).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쿠벤호벤 교수와 입자물리학의 석학인 찰스 마커스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킬로노바의 밝기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최초의 다중신호 천문학분석 결과,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