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있는 분야는 뉴런을 감싸고 있는 마이엘린의 두께를 측정하는 기술입니다. 뉴런이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전선이라면 마이엘린은 전선을 감싼 피복이에요. 마이엘린이 두꺼울수록 신호전달 속도가 빨라집니다. 신경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엘린 지도를 완벽히 그려서 질병 해결에 도움이 될 ... ...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쉴드’를 이용해 하드웨어를 조립하고, 엔트리를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했다. 고무찰흙은 전기가 통하기 때문에 필요한 아두이노 보드 위에 씌워서 사용하면 복잡한 전선 연결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일명 ‘말랑말랑한 키보드’를 인터넷에 연결해 피아노를 연주하며 즐거워했다 ...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하는 것은 인공위성을 만들면서 몸으로 부딪히며 배운 겁니다(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계획이 있나요?A 당장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동료 작가들과 전시회를 여는데, 제가 인공위성을 만들 때 배웠던 노하우를 전시해요. 인두와 납은 어디서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오르니토미모사우루스류)의 역사는 백악기 전기인 약 1억250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지층에서 발견된 펠레카니미무스(스페인)나 셴조우사우루스(중국)가 타조공룡에서도 가장 원시적인 종이기 때문이다. 몽골에서 발견된 하르피미무스는 조금 더 역사가 짧은데, 위 두 공룡과 거의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만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생각대로 소리가 나지 않았다. 박 디자이너는 납땜을 하면 전기가 더 잘 통해 소리가 잘 나올 거라고 알려줬다. 기자단 대부분이 처음 해보는 납땜이었지만, 박 디자이너의 도움 속에 모두 무사히 회로를 완성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따라라라 따라라라~”여기저기서 ... ...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대표로 참석한 날레디 판도르 과학기술부 장관은 “아프리카 사람들의 70%는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며 “정보 격차가 더 벌어지지 않도록 국제사회의 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전 세계 기념행사 잇따라이번 개막식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서는 올해 빛의 해를 기념하는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Bionic Power)사가 개발한 군인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비. 무릎을 구부릴 때 압전소자에서 전기를 생산한다.2020년엔 5조 원 시장 될 것에너지 하베스팅은 이미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영국의 시장조사기관인 아이디테크엑스(IDTechEx)에 따르면, 전세계 에너지 하베스팅 시장규모가 ...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3배 이상 귀한 고급에너지입니다.“그러니까 난방 같은 저온 열에너지를 얻으려고 전기를 쓰는 건 낭비다, 이 말이야. 등유나 가스난로는 효율이 80~90%거든. 아, 물론 냄새는 좀 참아야지.”180℃ 맥반석에서 계란은 갈색이 된다소녀는 소년이 멋져 보였을까요, 아니면 그저 피곤했을까요? 그건 독자 ... ...
- 도시가스로 발전하는 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동안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했어요. 김건태 교수는 “가스관에 이 전지를 설치하면 전기요금을 줄이는 것은 물론 여름철 정전에도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충분히 가늘게 만들면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바로 방직기와 원리가 유사한 전기방사기를 이용해 두께가 500nm(10억분의 1m)로 얇은 금속 나노선을 뽑아 투명 전극을 만들었다. 웨어러블 제품에 적용하려면 전극의 탄력도 좋아야 했다. 그동안 개발된 스프링 구조의 전극 소재는 너무 ... ...
이전1461471481491501511521531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