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근 실시된 수능에 복제 문제가 출제됐다. 그런데 이 문제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과정평가원은 교과서 범위 내에서 출제했으니 별 문제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시사 문제는 좀더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두고 벌어진 수능 논란의 ... ...
ㅣ인간복제 반대ㅣ 인간존엄성 정면 도전하는 인간복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근 외국에서 인간복제 연구가 진행돼 충격을 주고 있다. 그들은 불임부부와 사고로 자식을 잃은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나름대로의 정당성을 부각시키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인간복제가 갖고 있는 문제들 때문에 설득력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다. 불임부부는 자식을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최근 미국에서는 우편물로 백색가루가 도착하면 두려움에 떤다. 생화학 무기인 탄저균이 포함돼 있지 않을까라는 의심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비슷한 소동이 몇차례나 발생했다. 세계무역센터가 무너지는 대참사 이후 새로운 테러 도구로 인식되고 있는 생화학 무기를 파헤쳐보자.미국을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태양계 내 달이나 행성을 탐사하는 일은 이제 흔해보인다. 올 2월 니어-슈메이커 탐사선이 소행성에 착륙하면서또다른 탐사의 모습을 보여줬다. 최근 딥스페이스 1호가 혜성에 접근해 베일에 가렸던 혜성핵의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했다. 태양계 탐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역사적 현장을 만나보자.최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양자역학을 도입해 화학결합을 제대로 설명해낸 폴링의 1954년 수상은 현대화학의 초석을 닦았다는 평가와 함께 베스트1로 손꼽을 수 있다. 반면 사료보관방법을 발견한 1945년 수상자 핀란드의 비르타넨은 업적 자체도 미흡하지만 정치적 편견도 깔려있다. 역대 노벨화학상 베스트3과 워스트3을 살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지난 10월 8일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미국 워싱톤주립대 부설 프레드 허치슨 암연구센터의 릴랜드 하트웰(Leland H. Hartwell) 박사, 영국 왕립암연구재단의 티모시 헌트(Timothy Hunt) 박사와 폴 너스(Paul M. Nurse) 박사 등 3명을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세포가 ... ...
노벨상 1백주년과 함께 밝혀진 생명과 물질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인류는 탄생하면서부터 생명의 신비를 파악하고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본질을 탐구하고 싶어했다. 노벨상과 함께 시작된 20세기에는 생명과 물질의 베일이 상당히 벗겨졌다. 또 이런 결실은 언제나 노벨상의 수상 대상이었다. 노벨상 1백주년을 맞아 인류가 밝혀낸 생명과 물질의 세계를 탐험하 ... ...
② 비행기 한대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세계무역센터 건물에 자살 테러 여객기가 연이어 충돌한지 얼마 되지 않아 1백10층 건물이 폭삭 주저앉으며 잿더미로 변했다. 순간 전세계인은 충격과 공포에 떨었다. 이제 냉정한 마음으로 만일에 대비해 그 원인을 밝혀보자.9월 11일 오후 9시 45분(미국동부시간으로 오전 8시 45분) 세계무역센터 북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별똥별이 떨어지면 그 신비함에 사로잡히게 마련이다. 그래서 으레 소원을 빌고 그 소원이 이루지리라 믿지 않을까. 하늘이 맑은 10월의 가을밤 별똥별 잔치를 기대해보자.초순엔 용자리, 중순 이후엔 오리온자리를 주목하라.요즘은 옛날같이 별똥별을 많이 보기 힘들다. 도시의 밤하늘에도 변함없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로 가려면 광속으로 2백만년이 걸린다. 그 사이는 광활한 암흑의 공간이다. 이런 암흑공간에서 과학자는 현대과학의 수수께끼를 발견한다.어릴 적 밖에 나와 밤하늘 아래 누워있으면 별이 참 많이 보였다. 이때 많은 별들이 각자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