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달 착륙은 영화세트장에서 조작됐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군이 만든 생물학전 병기다. 화성에는 외계인이 만든 인공물이 있다. 당신의 이메일은 지금 감시당하고 있다. 최근 다시 고개를 드는 음모론의 내용이다. 과연 어디까지 진실일까. “내가 본 모든 것을 환상이라고 부정해도 좋습니다. 하지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블랙홀은 일반인에게도 친숙한 과학 용어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왜 그토록 블랙홀에 열중하는지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Why Science’ 코너에 원고청탁을 받으니 ‘Why’가 많이 들어가는 흘러간 팝송‘The End of the World’가 생각난다.Why does the sun go on shining?Why does the sea rush to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만능 줄기세포 어디서 얻어야 하나. 최근 발표된 생명윤리기본법안에서 '줄기세포'가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법안에서는 냉동배아를 통한 배아줄기세포와 몸안에 있는 성체출기세포 연구만 허용했다. 그런데 연구 범위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줄기세포가 과연 무엇이길래 이런 논란이 벌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세계 최초의 유전자변형 아기 탄생’. 지난 5월 4일 영국의 BBC 방송이 전한 충격적인 소식이다. 아기가 태어난 곳은 미국 뉴저지주에 있는 세인트 바나바스 메디컬센터의 생식의학연구소. 자크 코헨 박사팀이 “불임치료 과정에서 부모 이외에 다른 여성의 유전자까지 갖고 있는 아기가 태어났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1600년대 토리첼리는 진공상태를 처음 만들었다. 이때 그가 만든 공간에는 기체가 하나도 없었을까. 아니다. 단지 기체분자가 대기 중보다 더 적게 있을 뿐이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진공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왜일까.우리가 숨쉬는 대기는 질소 약 78%, 산소 약 21%, 그리고 미량의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이 책의 원제는 ‘Imagined Worlds’(Harvard University Press, 1997)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상상의 세계 : 과학소설의 상상력을 통해 본 인류의 미래’(신중섭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0)라는 제목으로 최근 번역됐다. 원래 1995년 예루살렘의 히브루 대학에서 H. G. 웰스의 ‘타임머신’(Time machine) 출간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몸 속에서 1피코초(${10}^{-12}$초) 간격으로 일어나는 생명현상을 한편의 드라마처럼 감상할 수 있다면 어떨까. 물론 꿈같은 일이다. 하지만 그 꿈에 희망을 건 사람이 있다. 순수한 호기심에서 출발해 다차원 진동분광학 이론을 제시한 조민행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아주 간단한 이유 때문에 저는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가속기' 하면 소립자 연구에만 이용되는 어마어마한 돈덩어리 장비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과연 그럴까. 국내 유일의 가속기가 있는 포항공대를 찾아가보자올해 3월말 신약개발 관련 벤처기업인 크리스탈지노믹스사의 황광연 박사 일행은 포항공대에 있는 국내 유일의 가속기센터에 10일간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첫번째 미션. ‘지구의 극한 환경에서 생명체를 수색하라.’지구 밖 우주에서 생명체를 찾으려면 먼저 지구 생명체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지구에도 도저히 생명체가 살지 못할 것 같은 극한 환경 속에서 생명체가 발견된다.해저 열수구에서부터 남극 빙산에서까지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을 만날 수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멀고 먼 우주에는 생명체가 있을까. 그리고 인간은 그 우주를 삶의 터전으로 꾸며낼 수 있을까. 영화‘레드 플래닛’은 우주, 그 중에서도 화성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과 동경을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4월 14일 오전 11시에 시작한 방담회에는 매스컴에 잘 알려진 한국우주환경과학연구소의 조경철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