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복제인간 탄생 초읽기에 들어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마릴린 먼로와 히틀러. 이들이 복제를 통해 다시 살아난다면 어떨까. 생명복제기술은 이미 신의 영역에 들어서 복제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수준이다.영국의 선데이 타임스는 지난 11월 5일 인간복제가 영생의 열쇠라고 믿는 다국적 종교집단 ‘라엘리언’이 자회사인 ‘클로나이드’를 통해 세계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램제트 우주선 레오노라 크리스틴호는 새로운 식민지 걸설의 꿈을 안고 지구에서 출발한다.이 거리는 우주선 안의 시간으로는 5년 정도면 거뜬히 주파할 수 있다.하지만 예기치 않은 사고를 접하게 되는데…. 광속여행으로 새롭게 시작된 은하계와 만나다 성간물질을 추진 연료로 이용하는 우주선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난 10월초 UFO와 관련된 흥미로운 뉴스가 국내 언론에 보도됐다.미국 메이저리그에서 활동중인 김병현 투수가 미 피닉스사막 부근에서 CF를 촬영하던중 UFO로 추정되는 타원형 물체가 필름에 찍혔다는 것.UFO는 과연 실재하는 것일까.지금부터 펼쳐질 권위자들의 가상대담을 지켜보면서 UFO의 수수께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노벨상 수상은 어떤 사람에게든 대단한 영광이다.하지만 노벨상의 화려한 얼굴 뒤에는 또다른얼굴이 있다.잘못된 수상이 있는가 하면 파렴치한 수상자도 있고 로비를 벌인 자가 있는가 하면 수상을 고사하던 천재도 있었다.알프레드 노벨이 세계주의적인 이상을 품고 유언으로 남긴 노벨상은 그의 ... ...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수많은 갈래 길에 서서 어디로 가야할지를 고민할 때 누군가의 도움과 정보가 절실하다.떠오르는 생명공학에서는 어떨까.생명공학을 전공하려면 어느 과로 가야 할까.담임선생님: 지원이는 어디 지원할거니?고3수험생 지원: 저…생명공학요.담임선생님: 왜?고3수험생 지원: 전망이 좋은 것 같아서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우주공간에서 사랑의 신 에로스의 포로가 돼 열렬한 구애를 하는자가 있다.소행성 에로스를 돌고 있는 미국 탐사선 니어-슈메이커가 바로 그 주인공.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니어-슈메이커의 최신결과가 보고됐다.에로스는 그리스신화에서 ‘사랑의 신’을 뜻하며, 로마신화에서는 큐피드로 알려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우리민족의 상징 백두산호랑이.멸종의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생명공학기술이 발벗고 나섰다.예정된 시간은 다가오는데,과연 복제된 백두산호랑이의 탄생이 가능할까.생명공학기술이 다시 한번 화제가 되고 있다. 이번에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호랑이의 복제다. 1999년 12월 말경 서울대 수의학과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전자의 스핀이 0이라면 원자 주위에 있는 전자들은 모두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에 옿일 수 있다.최외각전자가 따로 없다는 말이다.따라서 원소들은 모두 거의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나타낼 것이다.또 전자들은 같은 상태에 있으려고 하는 경향이 강해지므로 어떤 수의 원자로도 쉽게 분자를 이룰 것 ... ...
스티븐 호킹은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호킹 교수는 1942년 의사이자 열대병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의 장남으로 영국 옥스퍼드에서 태어났다. 옥스퍼드대학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전공한뒤 66년 ‘팽창하는 우주의 성질’이란 논문으로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 그는 클래식 음악과 공상과학을 좋아하는 ... ...
방사능 위험안고 해저 누비는 핵잠수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우리나라는 핵폭탄은 물론 핵잠수함을 보유한 국가가 아니다.그래서 지난 8월의 러시아 핵잠수함 침몰사고는 우리의 관심사와 멀다고 생각할 수 있다.그러나 남의 일로만 바라볼 수 없다.우리의 서해와 동해에 중국과 러시아의 잠수함이 정탐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8월 12일 노르웨이 북부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