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05
회 미로대회가 으스스 성에서 열립니다. 이 초대장을
본
당신! 미로대회 심사위원으로 뽑혔습니다. 지금 바로 으스스 성으로 오세요. 미로 탈출의 달인, 미로에 활기를 넣어 주는 예술가 등 미로와 인연이 있는 5명이 미로 경쟁을 벌입니다. 미로대회에 오셔서 공정한 심사 부탁드립니다. 벌써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
수학동아
l
201005
같이 위험을 관리하는 능력은 안정된 생활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교통사고 확률로
본
안전불감증우리나라 사람이 평생동안 교통사고를 당할 확률이 35.2%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에 걸릴 확률(남 34.4% 여 28.9%)보다 높은 수치였다. 교통안전공단은 확률과 함께 2008년 한 해 21만 건이 넘는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어떻게 태어났는지에 대한 연구는요? …없죠? 그럴 거예요. 그건 오직 저 미화석만 겪어
본
특이한 연구거든요.1996년,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의 데이비드 매케이 박사는 남극에서 발견된 ALH84001이라는 운석에서 미화석을 발견했다고 주장했어요. ALH84001은 약 39억 년 전에 화성에서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
다
과학동아
l
201004
쉽게 분간이 안됐다. 이 씨는 재빨리 아이폰을 꺼내 포켓유니버스를 켰다. 애인이 물어
본
별자리에 아이폰을 비추자 그 방향에 있는 별자리 정보가 나타났다. 방향을 이리저리 돌리면, 화면 속 별자리도 따라 움직였다. 육안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작은 별자리까지 선명하게 나타났다.과학계에도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04
큰 수확은 이제 우리나라도 독자적으로 극지를 탐사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직접 탐사해
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쇄빙 노하우일 것이다. 이대로라면 올 7월 예정된 북극탐사도 문제없다. 1* Pa : 1Pa은 1m2 면적에 무게가 100g인 물체를 올려놓았을 때 버틸 수 있는 강도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04
받았다. 외국에서도 고인을 인정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2001년 일
본
도쿄대는 일
본
인이 발견한 소행성에 ‘조경철’이라는 이름을 붙이도록 했고, 2002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가 ‘20세기의 탁월한 과학자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국민들의 마음속에 고인은 늘 장난기 섞인 밝은 웃음소리와 함께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04
현재 우주 나이는 137억 년이다. 유럽우주국(ESA)에서 지난해 5월 쏘아올린 ‘허셜’과 일
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서 2012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스피카’도 JWST의 막강한 경쟁자다. 반사경의 지름은 두 대 모두 3.5m로 JWST보다 작지만 허셜은 지금까지 개발된 우주망원경 중에서 가장 긴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04
상태로는 카로티노이드의 색이 나타나지 않지만 가열해서 단백질이 떨어져나가면
본
래의 붉은색이 드러난다. 참돔은 갑각류를 먹을 때 흡수한 카로티노이드를 자신의 세포 속에 저장함으로써 선홍색을 띤다. 만약 이 색소가 함유된 먹이를 먹지 못하면 참돔의 붉은빛도 사라진다. 실제로 양식산 ... ...
‘지방맛’ 둔감하면 살찐다
과학동아
l
201004
‘무지방’, ‘저지방’이 표시된 유제품들이 부쩍 늘고 있다. 한 번쯤 이런 제품을 먹어
본
소비자들의 의견은 ‘깔끔하다’와 ‘밋밋하다’로 뚜렷이 갈린다. 같은 유지방 제품을 먹었지만 이처럼 의견이 나뉘는 이유는 뭘까. 비밀은 바로 ‘지방맛’에 있다.호주 디킨스대 러셀 키스트 박사팀은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04
부족해서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기초 학문을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강화시킨 게 빛을
본
것 같아요.” 김 교수는 열악한 연구 환경이 오히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고 회상했다. 하나의 학문적인 아이디어를 실험으로 증명하고, 그것을 실제 기술로 만들어가는 전체 과정의 좋은 예시가 되겠다는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