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밤하늘의 보석상자 궁수자리 은하수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있다. 10cm 망원경으로는 성단을 이루는 별들이 조금 분해되어 보인다.얼마전 허블우주망원경(HST)에서 촬영한 베스타(Vesta)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베스타는 소행성 가운데 가장 크지만 감자처럼 납작했고, 인공위성이 찍은 천체라기보다 현미경으로 확대한 곤충의 알처럼 보였다. 하지만 B612는 너무 ...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그렇다면 이런 물질들은 과연 어디에 존재하는 것일까? 아직까지 이런 물질들은 망원경이나 다른 기타 관측에서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이지 않는 물질이 존재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들이 바로 유명한 암흑물질(dark matter)이다.물론 암흑물질의 일부나마 관측하는 방법이 ...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수 있다. 여기에는 허블망원경이 셔틀에 실려 발사되고 설치되기까지의 과정이나 허블망원경으로 관측한 초신성의 사진, 탐사위성 보이저가 찍은 데이터 사진 등도 찾아 볼 수 있다.웹으로는 STI(NASA의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ffice, http://www.sti.nasa.gov/STI-h ...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행성계를 가질 확률이 높다. 1992년에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그레이프가 광전소자를 갖춘 망원경으로 이 별까지의 거리를 정밀 측정했다. 거리는 8.25+0.02광년. 위치는 큰 곰자리에 있다.◆ 울프 359질량이 태양의 0,6배인 적색왜성. 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섬광별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어둡다. 온도가 ... ...
- 3천개 은하의 모임 장엄한 처녀자리 은하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사진이 소개되었다.(Coma) M104:나선은하. 8등급. '솜브레로은하'라고 불리며 아마추어용 망원경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은하의 중심부가 매우 발달돼 있으며 중심을 가로 지르는 먼지성운이 측면에서 보이는 은하이다.(Vir) 3C 273:퀘이사 가운데 가장 밝다. 지구로부터 30억광년.(Virgo) 한편 처녀자리 ... ...
- 우주론이 흔들리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겉으로는 다루기 힘든 문제이지만, 그것은 흥미롭다"라고 말한다."더 좋은 성능의 망원경과 다른 기구들이 있다면 우리 이론들을 25년 전보다 훨씬 많은 자료에 맞추어 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바콜은 말하면서 "아울러 우리의 가장 단순한 모델들이 넓게 퍼져 나간다는 것은 새 아이디어가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교수는 태양에서 1천2백 광년 떨어진 펄사(강한 전파를 내는 맥동성)를 아레시보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1 백만분의 6초마다 한번씩 펄스를 방출하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펄사 주위에 회전하는 물체(행성)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볼츠만 교수는 이 펄사 주위에 3개의 행성이 존재한다고 학계에 ...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가동할 계획이다. 아레시보망원경에서는 적도지방의 2백개 별, 낭세이와 그린뱅크망원경에서는 북만구 별 6백개를 탐사한다.현재 SETI 계획에 대해서 두가지의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그 하나는 생명체의 진화란 지극히 특수한 우연적인 사건에 의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리은하내에 지적문명체가 ...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그 곳이 미답의 세계인 동시에 선망어린 신천지일 수 밖에 없다. 가까운 미래에 국산 우주망원경이 궤도상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가상현실'을 그려본다. PC통신에는 그 진행상황과 관측결과가 '한글 윈도우'로 소개될 것이고 외국인들에게도 '명예 승무원증'이 주어진다. 이 장면이 가상현실 아닌 ... ...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성단과 먼지로 이루어진 띠, 그리고 밝게 빛나는 가스 등이 자세히 나타나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이 가운데 별탄생 영역을 몇 군데 발견했으며, 별은 밀도가 높은 성단에서 가스와 함께 태어난다는 잘 알려진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 주었다.(사진/J. Gallagher, A. Watson, NASA, Carnegie Institution of Wash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