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목성·혜성 충돌 그 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필자가 7월14일부터 약 2주일간 관측했다. CTIO의 4m 망원경에서는 적외선 영상관측을, 1.5m 망원경에서는 적외선 분광관측을 했다. 주요 발견은 주로 분광관측에서 나왔다. □ 뜨거운 메탄가스가 충돌장소에서 밝은 휘선을 내는 것을 발견했으며 □ 충돌 구름의 고도는 약 2백50km라는 것을 알아냈고 □ ...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과학동아 l1994년 09호
- 것이다. 금성과 수성의 적경 적위 값을 이용하여 수성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이용하여 확인해보라.붉은 행성, 화성의 출현자정을 넘어서면서 가을철을 대표하는 사각형이 천정으로 자리를 옮길 때쯤이면 동쪽 지평선 위에는 마차부자리와 오리온자리가 길을 안내하는 ...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과학동아 l1994년 09호
- 거리 r, 별의 연주시차 P는 r=$\frac{1}{p}$의 관계가 있음을 상기하자. 이와 같은 원리로 망원경을 통해 금성의 각 크기를 측정하면 각각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사진2). [생각해 보기] (표1)은 1994년 금성의 각 크기를 월별로 나타낸 것이다. 금성이 가장 크게 보일 때와 가장 작게 보일 때의 거리의 ... ...
-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과학동아 l1994년 08호
- 어둡지만 주변 별자리에 밝은 별들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밝은 느낌이다. 그런데 망원경을 통해 본 토성 모습은 옛날 같지가 않다. 화려하고 넓적한 고리, 그래서 그 고리사이의 틈(카시니 간극)까지를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실날같은 고리가 토성 본체를 양단하려는 듯 날카롭게 서 있다. ... ...
- 목성·혜성 대충돌 '황홀한 우주쇼'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등에서 일부 충돌장면과 그 직후의 모습 등을 카메라에 담는데 성공. 그러나 적외선 망원경이 필요했던 네번째 파편의 충돌은 관측에 실패해 우리 천문대 장비의 낙후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또 국내 천문학자들을 미국 칠레 등 해외로 파견, 국내의 장마 등 악천후를 만나는 경우에 ...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떨어진 화성 궤도와 목성 궤도 사이에 있었다.10월22일에는 미국 리크 천문대의 92㎝망원경으로, 13등급의 밝기인 핼리혜성의 첫 스펙트럼 사진이 촬영됐다. 그 결과 핼리혜성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코마에는 HCN, 꼬리에는 이온화 된 ${CO}^{+}$와 ${CO}_{2}$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해인 1910년 4월2 ...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희뿌연 은하수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별자리가 인상적으로 들어오지는 않는다. 그러나 망원경으로 이 부근을 겨냥해 보면 희뿌연 것들이 다 별이거나 여러가지 모양을 하고 있는 성운 성단들이다. 북쪽의 밤하늘엄청남 밝기를 앞세워 무섭게 상승하는 금성의 사자자리의 1등성 레굴루스를 ... ...
- 초신성 1987A 주변 신비의 고리 3개 발견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감싸고 있는 밝고 조그만 고리는 예전에 볼 수 없었던 진기한 광경이다"라고 우주망원경 과학기구의 크리스토퍼 부로우는 감탄했다.그는 이 고리를 초신성 1987A를 탄생시킨 선조별이 폭발하면서 우주공간에 흩뿌려놓은 가스거품이 팽창하는 일종의 '모래시계'로 간주하고 있다. 한가지 가능성은 ...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과학동아 l1994년 07호
- .5도.실시야가 288ft/1000yd로 표기된 경우 각도로 환산하면 288/52.5=5.5도.다음달에 계속해서 망원경을 구입하기 전 필요한 '즉석에서 할 수 있는 쌍안경 테스트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볼 수 있는 대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인공 위성에 의해 1979년 그 일부만을 관측했을 뿐이다. 적외선 오로라는 지상의 적외선 망원경에 의해 여러 파장에 걸처 관측돼 왔는데 ${H}_{3}^{+}$ 이온에 의한 3.4미크론 영역의 적외선 오로라가 가장 밝고 아름답다. 이 ${H}_{3}^{+}$ 오로라는 필자와 바론박사에 의해 1991년 세계 최초로 촬영됐다(사진5)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