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확하게 절반씩의 DNA를 물려받았다고 알고 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엄마에게서 조금 더 많은 유전자를 물려받습니다. 난자는 정자보다 5배 이상 크기가 큽니다. 그 안에는 핵과 각종 영양분이 있는 세포질, 그리고 미토콘드리아가 있죠. 즉, 2세의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는 엄마의 것과 똑같습니다.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색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헤모글로빈 수치를 알려준다. 사용하는 조명에 따라 정확도가 조금씩 다르지만 휴대전화의 조명만을 사용한 경우 79% 정확도로 빈혈을 진단했다(doi:10.1145/2971648.2971653). 논문의 공동 저자인 워싱턴대 의대 테리 게른샤이머 교수는 “불편하고 감염 위험이 있는 주사 바늘 없이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을 하고 있다.메이커로서 첫 걸음을 떼다서울에서 방문하기엔 조금 먼 감이 있었지만 ‘나만의 공기청정기를 만들겠다’는 일념 하나로 충주에 있는 한국교통대 무한상상실을 찾았다. 프로그램 예약 사이트에서 하루 이틀 사이에 마감된 인기 강좌다. 강의실은 어린 자녀를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 비열한 놈. 블랙홀이 물질을 내뿜고 우주가 수축한다 할 지라도 나의 충심이 조금이라도 흔들림이 있겠느냐?”치클의 말이 끝나자 탐사 로봇은 좌우로 까닥거렸다. 탐사 로봇이 다시 말했다.“정 그렇다면, 은하수 이쪽을 모조리 글루온 폭탄으로 폭파시켜서 너와 네 못난 황제를 깨끗이 분해해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람이 몸통과 엉덩이에 하중이 집중돼 있지만,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등고선의 형태도 조금씩 다르다. 예컨대 엉덩이의 하중이 큰 사람은 전체 몸무게의 최대 40%에 해당하는 무게가 집중돼 있다(육안으로 확인했을 때 기자는 약 38% 정도 집중돼 있는 것 같았다).적나라한 몸의 하중을 확인하고 ... ...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환경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에게 과학 교구를 이용해 수업을 하기 위해서다. 체험을 통해 조금이라도 과학과 친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였다(필요한 과학 실험 키트는 동아사이언스에서 후원을 받았다). ‘다리 밑 학교’에서 만난 아이들의 상황은 예상보다 훨씬 열악했다. 한국에서는 평범하다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네가 아직 생각해내지 못한 질문까지 전부 답해줄게. 난 네 편이야. 이 유원지를 조금씩 매입하고 자이로드롭을 새로 만든것도 바로 이 순간 때문이었어. 이제 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으니까 아마 너와 같이 떠돌이 생활을 해야겠지.”노마가 바닥에 주저앉으며 말했다.“그건 내 질문에 대한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카메라 렌즈에서 사람의 머리와 다리까지의 거리가 달라 종배율이 달라지게 돼. 거리가 조금만 변해도 종배율은 많이 변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해.롱다리로 나오고 싶으면 카메라를 정면보다 아래에서 찍어 봐. 그러면 렌즈에 가까이 있는 다리는 종배율이 커져서 길게 나오고 멀리 있는 얼굴은 작게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9주에 태어난 아기는 거의 모두 살릴 수 있다. 그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도 생존 가능성은 조금 낮아지지만 충분히 가능하다. 우리 병원에서도 얼마 전 임신 25주에 570g으로 태어난 조산아를 살려냈다”며 “하지만 24주 이전, 허파꽈리가 발달하지 않은 조산아는 현대 의학으로도 어떻게 할 방법이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올해 전세계 PE 사용량을 9200만t으로 추산했다. PE 비닐봉지는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 조금씩 분해되기는 하지만 완전히 분해되기 위해서는 최소 20년에서 길게는 수백 년이 걸린다. 그런데 최근 애벌레가 PE 비닐봉지를 갉아먹고 이를 분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애벌레는 플라스틱을 먹고도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