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유 속으로 풍덩 빠져볼까과학동아 l2008년 11호
- 함량이 낮게 나온다. 우유의 단백질 농도는 질소(N) 함량으로 평가한다. 멜라민에는 질소분자가 풍부하기 때문에 우유에 섞으면 단백질 농도산출 값이 커져 검사에 통과할 수 있고 고급제품으로 인정받는다.우유는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약 12% 들어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락토오스 ... ...
- 에너지왕국 구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반죽 찌꺼기 등은 부산물 처리장치로 보내진다.➏ 탈수 알코올 분자는 통과하고 물 분자는 통과하지 못하는 필터로 걸러 물기를 제거해 무수에탄올을 얻는다.➐ 이렇게 얻은 에탄올에휘발유와 첨가제를 넣어 연료로 사용한다.맥주가 변신한 바이오에탄올바이오에탄올은 옥수수, 사탕수수, 사탕무 ...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때문에 역전사라고 부른다.류왕식 교수 >서울대를 졸업한 뒤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분자바이러스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폭스 체이스 암 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했다. 1992년 LG생명과학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했고 1996년 연세대에 부임했다. 최근에는 B형 ...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못한다. 수면을 뚫고 들어간 공의 속력이 0이 아닌 경우 공은 공기보다 밀도가 더 큰 물 분자를 해치면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보다 더 큰 충격력을 운동방향과 반대로 받는다.이 외에 물체에 작용하는 힘인 중력과 부력은 소수성 공의 밀도가 물의 밀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합력이 0이 ...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과학동아 l2008년 10호
- 해서 국제무대에서 낙오되는 건 아니죠.”미국에서 35년을 살다가 귀국한 이화여대 분자생명과학부 이서구 교수의 설명이다. 아무리 영어가 유창해도 발표하는 연구내용이 그저 그렇다면 학회장은 텅 비어있게 마련이다. “일본 과학자들은 영어를 못하는 편인데 얼마 전 한 학회에서 저명한 일본 ...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과학동아 l2008년 10호
- profile1943년 미국 출생1964년 미국 브랜다이스대 화학과 졸업1970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분자동역학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1972년~현재 미국 IBM연구소 연구원1984년 양자암호 발명1989년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 실험1993년 세계 최초로 양자 원격전송 개념 정립찰스 베넷 박사는 한글을 ‘열공’하고 있다. ...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과학동아 l2008년 10호
- 고유의 질량이 다르다. 예를 들어 질소분자(N2)와 일산화탄소(CO)를 비교해보자. 질소분자 1개의 질량은 28.0135Da(달톤, 1Da=1.66×10-27kg)인 반면, 일산화탄소는 28.0101Da이다. 소수점 셋째자리 이하까지 정확히 측정해야 두 화합물을 구별할 수 있는 셈이다.수소, 탄소, 산소, 질소 같은 기본원소가 모인 ...
- 통합교과 지식이 핵심 열쇠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친수성, 친유성)에 대한 문제가 최근 3번이나 출제됐으며 생물의 경우 생명체에 대한 분자 수준의 접근을 다룬 문제가 자주 출제됐다. 유전 단원에서 수학과 결합된 문제의 출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국 성균관대의 경우 수학문제가 단독으로 출제될 확률은 낮으며 과학교과 간 통합 또는 수학과 ... ...
- 누드달걀 과학 노트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달걀 속으로 물이 들어와 달걀이 터지므로 달걀분수를 만들 수 없다.⑤ 수성물감도 분자 크기가 크면 달걀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되도록 식용색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식용색소는 시중에서 구하기 힘들다. 실험기자재 판매처를 이용한다.⑥ 달걀 분수에서 뿜어져 나오는 색소가 튈 수 ...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뒤 ATP라는 매우 작은 화학물질을 만든 다음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보통 포도당 한 분자를 태워서 36개의 ATP를 만드는데, 이는 포도당이 가진 화학에너지의 약 40% 정도다. 나머지 60%는 열로 발산돼 체온을 유지한다.이렇듯 인체의 에너지 효율은 생각만큼 높지 않은데, 그 이유는 생명체가 ... ...
이전1481491501511521531541551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