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학
뉴스
"
고려대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런 게 이산화탄소 먹는 ‘하마’
과학동아
l
2014.07.21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새롭게 개발됐다. 홍창섭
고려대
화학과 교수팀은 기존 흡착제보다 이산화탄소 포집 효율은 뛰어나면서도 물과 산성에 강하고 소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니켈기반 금속-유기 복합체’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탄소나 제올라이트로 ... ...
빛으로 암세포 죽이는 '광열치료' 성큼
과학동아
l
2014.07.10
‘광열(光熱)치료’의 상용화를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지원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9일 “광열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광열치료는 정상세포보다 열에 약한 암세포의 약점을 이용해 체외에서 근적외선 레이저를 쪼여 ... ...
STAP 세포, 결국 헤프닝으로 끝났다
과학동아
l
2014.07.03
이에 대해 학계에선 ‘좀더 조속한 철회가 이뤄졌어야 했다’는 의견이 나온다. 유승권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철회 자체는 예상된 수순이었다”며 “네이처 측에서 자체 철회하는 것이 더 옳았겠지만 저자 전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 때문에 대응이 늦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내시경 검사 괴로움 없앨 새 검사법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06.30
개념도. 나노선에 무기양자점을 붙여 발광염료가 붙은 바이오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
고려대
학교 제공 연구진은 유기화합물로 만든 가느다란 나노선에 양자점을 붙여 수송관을 만들었다. 이때 양자점은 빛을 방출하고 나노선은 양자점에서 나온 빛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 ...
암 유전자 없이 iPS세포 제조 성공
과학동아
l
2014.06.24
특정 유전자는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로 유명해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유승권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외부유전자 없이 iPS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하고 ‘바이오머터리얼스’ 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외부 유전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줄기세포를 만들 수 ... ...
휘어지는 e신문 개발 성큼
과학동아
l
2014.06.18
유기반도체를 결합해 색상 조절이 가능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와 이광섭 한남대 교수팀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태양전지에 응용가능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해 신소재 분야 학술지인 ‘NPG 아시아 머터리얼스’ 온라인판 6일자에 발표했다. ... ...
그래핀 한 번에 코팅하는 법
과학동아
l
2014.06.10
윤석구
고려대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교수 -
고려대
공과대학 제공 2차원 탄소결정구조인 그래핀은 전자 이동 속도가 실리콘 반도체보다 10배 이상 빠르고 다 ... 입자를 표면에 발사하면 운동에너지 때문에 그래핀이 여러방향으로 펼쳐지며 격자구조가 재생된다.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표심의 과학, 6.4 지방선거] 첫인상 좋아야 표심도 얻는다?
2014.06.03
"Do not judge a book by its cover(책 표지만으로 책 내용을 판단하지 말라)." 외형만으로 내용을 판단하는 행태를 경계하는 서양 격언이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외모도 '스펙'에 해당한다. 특히 상대에 대한 사전 정보가 부족한 상태로 이뤄지는 소개팅이나 신입사원 면접에서 첫인상은 성패를 가 ...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동아
l
2014.05.30
RNA연구단장ㆍ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김세권(부경대 화학과 교수) △김종승(
고려대
화학과 교수) △박광식(동덕여대 약대 교수) △서영준(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분자의학및바이오제약학과 교수) △윤주영 이화여대 화학·나노과학전공 교수, △이종흔(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조길원 ... ...
[과학단신] KIST 유럽硏-과학인력개발원 MOU 등
과학동아
l
2014.05.13
13일 본관 제1회의실에서 시상식을 개최했다. 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생 박병섭씨,
고려대
기계공학과 채희원씨, 공주사대부고 노진형 학생 역시 장학생으로 선발했다. 김 박사는 나로호 개발사업에 참여해 30톤급 연소기의 선행 개발과 액체로켓 엔진의 핵심 요소기술 확보에 기여한 공로를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