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밤낮으로 변하는 내 기분, 이 단백질 때문이었네과학동아 l2014.05.09
- 작용 원리를 최근 밝혀냈다. 김경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및 생명과학부 교수와 손기훈 고려대 의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일주기 리듬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을 찾았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지, 보상 등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정서 조절 시스템에서 중요한 ... ...
- 비타민·오메가3·글루코사민,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4.05.02
- 만성요통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 것. ● 건강기능식품, 입증된 건 ‘안정성’ 뿐 고려대 이성준 식품공학과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정한 건강기능식품이라도 다른 기능으로 광고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 예로 최근 여성들이 많이 ...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과학동아 l2014.04.23
- 김태근 교수 -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투명 전자기기에 필요한 투명 메모리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환원 ... 과 ITO 층 위에 흡착된 RGO 플레이크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오른쪽). ※ITO=투명전극. - 고려대 제 ... ...
- 거실 유리로 TV 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04.14
- 휴대전화는 물론, 투명한 유리창 TV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병권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와 최경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투명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로 각광받는 비정질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신소재분야 ... ...
- 기업 연구원 공대 교수 될 수 있다과학동아 l2014.04.11
- “혁신방안은 이런 기형적인 분위기를 정상화하려는 시도”라고 평가했다. 정석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지도교수의 논문 실적과 대학원생의 취업률이 비례하지는 않는다”면서 “산학협력이 활성화되면 공대 졸업생의 취업률도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산업계도 환영했다. 특히 ... ...
- 차세대 메모리 소자 '얇게 더 얇게'과학동아 l2014.04.08
- 연구진이 합성한 바륨 티타네이트 나노입자. -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메모리 소자로 각광받는 ‘바륨 티타네이트’를 간단한 방법으로 얇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 모양의 나노입자를 흡착시키는 방식으로 층층이 쌓아 다층의 박막을 만들 수 있다. - 고려대 제 ... ...
- “내 꿈은 가수인데…” 수학에 한자까지 하루 9곳 학원 순례동아일보 l2014.04.08
- 6학년은 그 비율이 48%(30명)나 됐다. ‘있다’고 답한 경우 대부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명문대나 법대, 의대 진학을 원했다. 전문가들은 부모의 사교육 욕심이 자녀의 인지적인 발달은 도울 수 있지만 정서적으로는 후퇴시킨다고 지적했다. 아이가 머리는 똑똑해지는 반면 자기 마음을 다스릴 ... ...
- 뽑아볼까, ‘우주 미스터리’ TOP 3과학동아 l2014.04.04
- 그래서 양전자라고도 부른다. 전자만 존재하고 양전자가 사라진 이유는 뭘까. 원은일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최근 그 실마리를 찾아냈다. 일본 고에너지물리연구소(KEK)에 있는 가속기에서 양전자를 만들어 전자와 충돌시켰더니 그 과정에서 발생한 ‘매혹 중간자(Charm meson)’가 반물질인 ‘반 ...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쎈 놈' 온다과학동아 l2014.04.02
- 탐지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함승주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나성수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기존 대비 1만 배 민감도가 높은 탐침(캔틸레버)을 개발하고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3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캔틸레버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성질을 바탕으로 ... ...
- 벚꽃아, 이번주만 버텨다오과학동아 l2014.03.31
- 세포를 증식하는 정단분열조직이 개화 지시를 내려 꽃이 피게 된다. 안지훈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벚꽃의 FLM과 SVP 복합체 양이 줄어들어 개화가 앞당겨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 교수는 복합체의 이런 개화 조절 과정을 규명해 지난해 9월 세계적 과학학술지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