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수면병 약, 1형 당뇨병에 효과…또 '약물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는 처음 서구권 국가에서 실시된 임상시험에서 간질 등의 부작용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후
일본에서 이뤄진 임상시험에서 부작용 없이 높은 치료효과를 보이며 동양인 폐암 치료제로 각광받게 됐다. 전문가들은 기존에 개발된 많은 약물 중에선 이처럼 미처 발견되지 않은 효과를 품고 있는 ... ...
원시 행성 '테이아', 지구 내부에 대륙 크기 흔적 남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이를 분석하면 내부가 어떤 물질로 이뤄져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 두 행성 충돌
이후
발생했을 파편의 움직임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지진파 분석 결과와 비교했다. 그 결과 지표면 아래 2897km 부근에서 지진파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느려지는 대륙만한 크기의 구조 2개가 관측됐다. ... ...
"한국, 지구위협소행성 감시 망원경 직접 개발...2027년부터 운영"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최근 부각됐다. 김 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 지역 유성체 폭발사건
이후
우주물체와 지구의 충돌로 인한 피해에 대해 국제사회가 경각심을 갖기 시작했다. 실제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IAWN)이나 우주임무기획자문그룹(SMPAG)과 같이 소행성 충돌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조직이 ... ...
서울대 교수도 '포닥' 해고…R&D 예산삭감에 '엑소더스'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3.11.01
꼴이 되는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젊은 연구자들은 R&D 예산 감축안이 발표된
이후
자발적으로 해외행을 택하는 연구자들이 늘었다고 전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한 경험이 있는 한 대학 연구원은 “지금도 대학에선 고가인 장비의 수급이 쉽지 않은데 예산이 삭감되면 ... ...
하루 간병만 14.4시간..."중증아동환자 이곳에 잠깐 맡기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01
입원 및 예약 확정을 받게 된다. 보호자는 첫날 의료진에게 돌봄을 위한 인수인계를 하고
이후
병원이 돌봄 서비스를 시행한다. 센터 개소 전인 지난달 30일 5명의 아동 환자가 입원했다. 태어날 때 저산소성 뇌손상을 받은 아이 등이 입원했다. 모든 환자가 20박씩 이용할 시 병상가동률 80% ... ...
"과기의전원, '성적'만으로 학생 뽑으면 안 돼...면접 시 공들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PhD를 취득하는 과정은 평균 7~8년 소요된다. 입학 후 2년 동안은 기초의학 과정을 밟은 뒤
이후
3~4년 간 공학박사 학위 과정을 밟는다. 논문이 통과되면 의사 면허 취득을 위한 임상실습(clerkship) 과정이 시작된다. 김 교수는 MSTP의 의사과학자 양성은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활동과 이해를 ... ...
보살핌 못 받아 생긴 스트레스 극복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증가했으며 시냅스 가소성이 손상됐다. 생애 초기 스트레스에 의해 과활성화된 고삐핵이
이후
스트레스 취약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스트레스에 취약한 쥐의 외측 고삐핵에서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와 NMDA 수용체가 증가하고, 글루탐산 수송체인 GLT-1가 ... ...
"日 오염수 분출 사고 액체 양, 당시 발표치의 수십 배"
동아사이언스
l
2023.10.31
남아있던 액체 양을 근거로 분출된 방사성 액체의 양이 약 100ml인 것으로 발표했다.
이후
인부들의 증언과 바닥 흔적에 대한 추가 조사를 통해 당초 추정치보다 많은 양이 분출된 것으로 파악됐다는 설명이다. 한편 방사성 액체에 노출된 작업자 5명 중 지역병원으로 이동된 작업자 2명은 몸 ... ...
합성생물학, 2030년까지 선도국 90% 수준으로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30
생명시스템을 설계·제작하는 기술이다. 합성생물학은 2003년 인간 유전체 지도가 완성된
이후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과 접목돼 유전체를 해독하는 수준에서 인공세포를 합성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고도화된 합성생물학 기술은 바이오연구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던 낮은 속도와 ... ...
우주에서도 포유류 배아세포 자랐다…실험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0.30
교수는 "자궁 밖에선 배아는 길어야 나흘 밖에 생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화학 보존 처리한 배아들을 다시 지구로 데려와 발달 추이를 관찰했다. 그 결과 중력이 거의 없는 상태인 우주의 극미 중력 상태에서도 배아가 정상적으로 성장했음이 확인됐다. 우주에서 배양된 4일 간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