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5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관리.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1070604 4. 수전 손택. 은유로서의 질병. 이재원 역.
이후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 ...
[표지로 읽는 과학] 17년만에 쏟아져나온 매미 떼, 먹이사슬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연구팀은 2021년 '브루드 텐' 매미들이 미국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출현하기 이전과
이후
의 북동부 숲 생태계를 조사했다. 매미의 수가 늘자 숲에 사는 새들이 먹잇감을 매미로 바꾸기 시작했고 원래 새들의 주식이었던 애벌레의 수는 급격하게 늘어났다. 숲에 서식하던 새 80여 종이 매미로 배를 ... ...
[주말N수학] 공중에서 쏘고 돌팔매질로 날리는 친환경 로켓 발사
2023.10.21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KAI에서 12년 동안 항공기 개발과 국제 마케팅 업무를 했고
이후
프랑스로 건너가 모바일 기기용 통신 회사 ‘VMTS’를 운영했다. 2010년부터는 7년 동안 롤스로이스 한국 지사에서 항공 및 함정의 가스터빈 사업을 개발했다. 2021년부터 글로벌 우주 항공 액셀러레이터 및 ... ...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10.21
세계 연구팀이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그래핀을 만드는 비법은 겨우 스카치테이프였다.
이후
가임 연구팀은 1년 넘게 흑연 표면에 스카치테이프를 10~20번 정도 뗐다 붙였다 하며 그래핀을 만들었고 단일 층 그래핀의 물리적 특성을 밝혀냈다. 그들의 논문은 2004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항암 부작용 줄이고 전이암 막는 새 '암 치료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0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사망 원인인 이유는 '암 전이 현상' 때문이다. 항암 치료
이후
에도 일부 살아남은 암 줄기세포 등으로 인해 암이 재발하거나 다른 기관으로 번지는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이 현상으로 인한 전이암은 항암제에 강한 내성을 보인다. 암 환자의 90% 이상이 ... ...
의협 "고위험군, 올 겨울 코로나19·독감 백신 동시 접종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및 치명률은 여전히 높다”고 말했다. 코로나19가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된
이후
국민의 관심과 우려가 크게 줄어들었지만 겨울에는 밀접·밀집·밀폐 환경이 조성돼 바이러스 감염 전파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감염 시 중증화 및 사망 위험이 있는 고위험군은 접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달 남극 탐사 성공' 인도 "2040년까지 달에 사람 보내겠다"
연합뉴스
l
2023.10.18
개발 사업에 힘쓰고 있다. 인류는 1969년 처음 아폴로 11호를 통해 달 착륙에 성공했지만
이후
달 탐사 사업은 시들해졌다. 하지만 최근 들어 여러 국가는 물론 민간 기업들도 달 탐사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달에 거주가 가능한 우주기지를 건설하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 ...
의협 “의사 되려면 10년 걸려...필수의료·지역의료 지원이 먼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0.18
합의를 통해 의대 정원 문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의정협의체’를 통해 합의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의협 관계자는 “정부의 이런 약속을 믿고 의사들은 코로나19 상황에 사명감 하나로 의료현장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해왔다”며 “이러한 의료계의 ... ...
의대 정원 확충?...'응급실 뺑뺑이' 해결 vs 특정 진료과 기피가 더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2명 중 한 명은 해외 학회, 다른 한 명은 지방 출장으로 응급환자에 대응할 수 없었다.
이후
‘응급실 뺑뺑이’를 하다가 구급차에서 숨을 거두는 환자들이 잇따라 발생하며 의대 정원 증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2023 대국민 의료현안 설문조사’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 코로나19 진단부터 QLED TV까지 양자점의 활약에는 한계가 없다 바웬디 교수의 연구
이후
로도 양자점 연구는 여러 과학자에 의해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1994년 미국 신재생에너지 연구소의 아서 노직 박사가 중금속이 포함되지 않은 양자점을 합성하는 등 다양한 양자점의 발견이 이어졌다. 기요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