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지문인식이나 홍채인식, 정맥인식 등 생체인식 기술들이 발전하면 몸에 칩을 심지 않아도 보안 해제부터 결제까지 가능해질 것이다. 하지만 신경보철처럼 아직까지는 인체 이식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다. 어찌됐건 머지않아 인체 이식 칩이나 기기가 낯설지 않은 시대가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달에 가는 것이 아니다”라며 “달 탐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융·복합적인 우주 기술 발전을 이루는 것”이라고 말했다. 심(深)우주 통신, 반도체, 빅데이터, 로봇 등 새로운 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가 바로 우주라는 것이다. 그는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는 분야를 빨리 찾는 전략이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한창 활발하게 연구를 이어가던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됐다. 아들은 겨우 생후 20개월. 어린 아들의 건강이 염려됐지만, 자리를 쉬이 포기할 수는 없었다. 서둘러 아이를 부산 부모님 댁에 맡기고 돌아왔다. 그러다 둘째를 임신했고, 결국 201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설명했다. 가령 배의 왼쪽 끝에 선원의 방을 배치하고, 바로 옆에 화재 위험이 없는 발전기를 놓는다. 그리고 반대쪽에 원유를 정제하는 화학 공정 장치들을 설치한다. 전투력이 가장 중요한 잠수함의 경우 방 배치가 완전히 달라진다. 잠수함 승조원이 생활하는 공간보다 무기고를 우선적으로 ... ...
- Part 1. 아무도 모르는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모양은 끝내 알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 우주의 모양을 관측할 정도로 이론과 과학 기술이 발전할 수도 있지만,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야 할지는 미지수다. 그냥 포기해야 하는 걸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Part 1. 아무도 모르는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제염과 방사성 폐기물 처리 분야다.원전을 해체할 때 가장 먼저 제염을 하는 이유원자력발전소나 연구용 원자로 같은 원자력 시설에서는 운영되는 동안 핵분열 과정에서 발생한 중성자에 의해 방사성 핵종이 생긴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설 내에 점차 축적되는데, 가동 기간이 길면 길수록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수 있는 곳은 지구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현재로서는요. 언젠가 지구화 기술에 혁신적인 발전이 있다면 이곳으로 돌아와 살아갈 수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아직 그 단계에 이르지 못했어요. 메타연구에 따르면 앞으로도 수백 년은 더 걸릴지 모른다고 하더군요. 그만큼 테라포밍이란 게 어려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일정을 짤 때 ‘조합적 디자인’이라는 수학 분야를 활용하거든요. 그런데 이 분야의 발전은 1850년 영국의 수학 잡지에 실린 퍼즐에서 시작됐습니다.여학생 15명이 다니는 어느 기숙학교에서는 매일 아침마다 한 줄에 3명씩 5줄로 세워 기숙사에서 교실로 행진한다. 일주일 동안 어느 두 학생도 같은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흘려 주면 온도 차이가 생기는 현상이에요. 제벡효과와 정반대지요.즉, 오토바이의 발전기를 백신 냉장고에 연결해 전류를 흘리면, 한쪽 면에서는 ●흡열이 일어나 온도가 낮아지고, 다른 면에서는 ●발열이 일어나 온도가 높아져요. 이때 온도가 낮아지는 쪽을 백신 냉장고로 활용한 거죠.●흡열 :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김 교수와 임 연구원은 앞으로 이 진단 기술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장치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나아가 칩 하나로 개별 세포의 구성 물질들을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기술까지 개발하는 것을 꿈꾸고 있다.교수와 대학원생은 사제관계이면서 동시에 함께 연구 결과를 만들어 나가는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