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전투 능력을 토대로 적군의 능력을 수치로 나타낸다. 병력, 훈련 정도, 무기 체계의 발전 정도 등을 이용해 적의 전투력 지수를 계산한다. 시뮬레이션에서 아군의 피해가 크면, 특정 요소를 수정해 다시 시뮬레이션한다. 여기에 쓰이는 모든 요소는 수학을 이용해 계산한다. 거리에 따른 살상도나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통해 “개인 교통수단의 미래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최근 드론이 발전하면서 드론을 토대로 플라잉카를 만들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키티호크뿐만 아니라 중국의 드론 제작사 이항도 작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르르 쾅쾅! 천둥이 온 세상에 울리기 몇 초 전, 눈 깜짝할 사이에 미리 예고하는 손님이 있다. 번쩍번쩍 하늘을 가르는 번개다. 과학을 몰랐던 아 ... 그는 또 “자연에서 일어나는 대전현상을 모방해 독창적인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발전기를 제작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불구하고 복구되지 않는 경우 중에 발생한다). CRISPR-CAS9과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긴 부분을 일일이 정상 유전자로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나마도 국소적으로 퍼진 암세포에만 가능할 뿐이다.보겔스타인 박사는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수차례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같은 빵이 이때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그 후 기원전 1000년 경, 그리스에서 해상 문화가 발전하고 과실을 풍부하게 재배하면서 빵에도 여러 종류의 부재료가 더해지게 됐다. 빵을 주식으로만이 아닌, 기호 음식으로도 즐기게 된 것이다. 이때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유럽으로 기술이 활발히 전파된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의료 기기, 철도, 전력망, 상하수도 처리 제어기기까지 다양하게 쓰이기 때문이다. 대형 발전기부터 동네 송전선까지 모두 컴퓨터로 제어하기 때문에 전력망을 통제할 수 있는 무기가 개발된다면 꼼짝없이 모든 체계가 멈출 것이다. 이를 막기위해 강력한 보안을 위한 정교한 암호를 개발 중이다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받고 가장 먼저 연락한 사람도 레이턴이었다.계속되는 도전, 질병 정복을 꿈꾸다의학의 발전에 끝이 있을까.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에서는 LPS수용체에 저항성이 있는 돌연변이, 자가면역 등 면역 전반을 연구한다.보이틀러 교수는 “현재는 인간의 면역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나 행동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음악학자 아서 폰 오팅겐과 휴고 리만은 오일러의 생각을 오팅겐-리만 톤네츠로 발전시켰다. 이 톤네츠에 나타난 숫자는 12음계에 해당한다. 도는 0, 도#은 1, 레는 2 등으로 12음계에 0~11을 부여했다. 12개 숫자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돼 쉽게 곡을 만들 수 있다.예를 들어 그림처럼 4개의 숫자로 두 ... ...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와 제대혈에서 채취하는 줄기세포의 하나로, 다양한 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다분화능이 있다.연구팀은 나노코팅 줄기세포가 사람의 정맥과 유사하게 제작된 인공 환경에서 기존 줄기세포보다 24시간 뒤 31.6배, 48시간 뒤 28.5배 이상 생존율이 높다고 분석했다. 형광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없고 모양·크기 다양해 가치과연 이렇게 만든 시금치 심장을 향후 실제 인공장기로 발전시킬 수 있을까. 먼저 면역 문제. 연구팀은 논문 에서 “식물의 관이 사람에게 이식됐을 때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밝혔지만, 전문 가들은 대부분 면역거부반응이 없을 것으로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