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塊狀)으로 된 줄기 및 뿌리의 총칭으로 알뿌리라고도 한다 잎·줄기·뿌리 등이 양분을
저장
하기 위해 특별히 비대되어, 마치 근부의 조직처럼 보이는 형태로 발달된 뿌리의 한 기관이다 글라디올러스 튤립 히야신스 백합 등이 대표적인 구근초${10}^{-9}$(10억분의 1)에 해당하는 보조단위의 접두어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실려 있다. 이를 통해 2호는 지상의 원격명령을 수신하고, 원격측정 자료를 수집해
저장
한다.20세기가 지구촌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우주 시대라고 할 만큼 우주에서 영역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그만큼 위성개발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발전시켜서 다른 나라보다 먼저 우주로 진출해야 할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못한다”고 지적했다. 체내에 직접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탄수화물이고, 이 에너지를
저장
하는 것은 지방이다. 단백질은 근육같은 조직을 구성하는 데만 관여한다. “아미노산 음료가 ‘힘’(에너지)을 공급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 교수의 설명이다.그렇다면 아미노산 음료는 전혀 효과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화상 전화로 의사와 면담해 약국에서 약을 탈 수 있다. 상하기 쉬운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
하는 냉동 기술이 발달해 북극해에서 잡은 생선회를 값싸고 맛있게 먹을 수 있다.한국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상거래용 보안기술이 개발된다. 그동안 해킹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전자상거래 시장이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같은 로봇 2개가 만들어진다. 립든 교수는 “각 정육면체 안에 자신을 복제하는 방법을
저장
한 장치가 들어 있다”며 “이 장치가 복제를 할 때 DNA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 기술을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모든 기계에 적용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다. 또 진화의 원리를 이용해 ... ...
스마트 교통카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교통카드 체제가 시행 1년째를 맞고 있다. 타고 내린 시간과 남은 금액을 카드 속 메모리 칩에
저장
하던 종전 방식과 달리 컴퓨터 칩을 내장한 신형 교통카드에는 첨단 보안기법과 무선 인식기술이 들어있다. '현금 없는 미래' '가볍지만 믿음직한 지갑의 시대'를 앞당긴 교통카드의 원리를 소개한다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취약. 강자성 메모리(M램, Magnetoresistance)작동원리 : 강자성체의 자화 방향으로 데이터를
저장
한다. 방향이 일치해 저항이 낮으면 0(a), 방향이 달라 저항이 높으면 1(b)로 인식한다.장점 : 비휘발성. 수행속도 빠름. 반복 사용 가능.단점 : 강자성체 사이 간격에 한계가 있어 집적도 높이기 힘듦.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처리 과정을 거친다. 먼저 사진부스처럼 생긴 곳에 얼굴을 들이밀면 2차원 영상으로
저장
된다. 이 얼굴 사진은 서버에서 이미지 변환 소프트웨어를 거쳐 네안데르탈인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여기에 쓰인 기술이 바로 특수영상효과 중 하나인 얼굴 모핑 기법. 한 물체를 다른 물체의 모습으로 천천히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저장
용량을 늘리려면 정해진 공간에 많은 반도체 소자를 심어야 한다. 현재 메모리
저장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인 리소그래피로는 반도체 소자를 심는 단위공간을 50nm 정도까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반도체 집적도가 기가(109)비트급인 메모리까지 제작이 가능한 것. 이에 비해 나노벌집 구멍의 지름은 4~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라고, 처리된 정보를 실어 나르는 대역폭은 더 넓어지길 바라며, 실어 온 정보를
저장
하는 메모리는 더 커지길 원하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 조준일 부연구위원은 “황의 법칙이 디지털 기기의 발전 기준을 제시해 준 것은 분명하다”고 밝혔다.황의 법칙은 디지털 시대를 사는 우리 삶의 속도도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