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塊狀)으로 된 줄기 및 뿌리의 총칭으로 알뿌리라고도 한다 잎·줄기·뿌리 등이 양분을
저장
하기 위해 특별히 비대되어, 마치 근부의 조직처럼 보이는 형태로 발달된 뿌리의 한 기관이다 글라디올러스 튤립 히야신스 백합 등이 대표적인 구근초${10}^{-9}$(10억분의 1)에 해당하는 보조단위의 접두어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못한다”고 지적했다. 체내에 직접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탄수화물이고, 이 에너지를
저장
하는 것은 지방이다. 단백질은 근육같은 조직을 구성하는 데만 관여한다. “아미노산 음료가 ‘힘’(에너지)을 공급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 교수의 설명이다.그렇다면 아미노산 음료는 전혀 효과가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바닥에 튀기지 않고 손으로 꾹 눌렀다가 놓았어. 그때 압축된 용수철은 에너지를 내부에
저장
했다가 손을 놓는 순간 한꺼번에 밖으로 뿜어 내게 돼. 이런 용수철의 성질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덕분에 진현호 친구의 공은 손을 놓은 순간 180cm나 솟아 오를 정도로 큰 탄성을 자랑했지. 그러나 이 공은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취약. 강자성 메모리(M램, Magnetoresistance)작동원리 : 강자성체의 자화 방향으로 데이터를
저장
한다. 방향이 일치해 저항이 낮으면 0(a), 방향이 달라 저항이 높으면 1(b)로 인식한다.장점 : 비휘발성. 수행속도 빠름. 반복 사용 가능.단점 : 강자성체 사이 간격에 한계가 있어 집적도 높이기 힘듦.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원이 끊겨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기억소자로, 섬광(flash)처럼 빠르게 정보를
저장
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다. 노트북PC를 비롯해서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같은 휴대용 장치에 널리 쓰인다.‘황의 법칙’은 이 플래시메모리를 중심으로 보면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작하면서부터 3차원 나노조형기술이 완성된 것이다.3차원 나노조형기술을 정보
저장
매체에도 응용하면 지금까지 2차원 평면 위에 정보를 담았던 CD나 DVD와는 차원이 다른 대용량 매체가 실현 가능하다. 이밖에도 나노 조형물은 3차원 광결정체, 광메모리뿐만 아니라 미세한 세포 배양틀 등에도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는 프로그램에서 하나씩 명령어를 가져와 수행한 뒤 결과 데이터를 다시 메모리에
저장
하는 일을 반복한다.이 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메모리의 동작 속도는 상대적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결국 프로그램은 메모리의 속도에 맞춰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런 차이를 극복하기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같은 로봇 2개가 만들어진다. 립든 교수는 “각 정육면체 안에 자신을 복제하는 방법을
저장
한 장치가 들어 있다”며 “이 장치가 복제를 할 때 DNA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 기술을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모든 기계에 적용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다. 또 진화의 원리를 이용해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처리 과정을 거친다. 먼저 사진부스처럼 생긴 곳에 얼굴을 들이밀면 2차원 영상으로
저장
된다. 이 얼굴 사진은 서버에서 이미지 변환 소프트웨어를 거쳐 네안데르탈인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여기에 쓰인 기술이 바로 특수영상효과 중 하나인 얼굴 모핑 기법. 한 물체를 다른 물체의 모습으로 천천히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저장
용량을 늘리려면 정해진 공간에 많은 반도체 소자를 심어야 한다. 현재 메모리
저장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인 리소그래피로는 반도체 소자를 심는 단위공간을 50nm 정도까지 작게 만들 수 있다. 반도체 집적도가 기가(109)비트급인 메모리까지 제작이 가능한 것. 이에 비해 나노벌집 구멍의 지름은 4~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