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작하면서부터 3차원 나노조형기술이 완성된 것이다.3차원 나노조형기술을 정보
저장
매체에도 응용하면 지금까지 2차원 평면 위에 정보를 담았던 CD나 DVD와는 차원이 다른 대용량 매체가 실현 가능하다. 이밖에도 나노 조형물은 3차원 광결정체, 광메모리뿐만 아니라 미세한 세포 배양틀 등에도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는 프로그램에서 하나씩 명령어를 가져와 수행한 뒤 결과 데이터를 다시 메모리에
저장
하는 일을 반복한다.이 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 메모리의 동작 속도는 상대적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결국 프로그램은 메모리의 속도에 맞춰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런 차이를 극복하기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원이 끊겨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기억소자로, 섬광(flash)처럼 빠르게 정보를
저장
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다. 노트북PC를 비롯해서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같은 휴대용 장치에 널리 쓰인다.‘황의 법칙’은 이 플래시메모리를 중심으로 보면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 ...
땅속 찌든 때까지 씻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산화력을 가지므로 기름오염물을 분해시키는데 뛰어나다. 이 점을 응용하면 매립지, 지하
저장
탱크 주변과 같은 오염토양을 보다 빠르고 손쉽게 정화할 수 있다.또 하나, 환경복원공학 연구팀이 개발한 토양증기추출법(SVE)은 토양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휘발성 오염물질을 뽑아내 제거하는 기술이다.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부위이자 전기신호의 전달통로인 시냅스를 통해 정보가
저장
된다. 그리고 몇 주나 몇 달에 걸쳐 해마를 통해 피질이 계속 활성화되면서 피질의 시냅스는 점차 변화하고 평생 기억할 만큼 강력한 기억을 형성한다. 이를 ‘시냅스 강화’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해마 손상은 최근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로봇에게 말만 하면 커피까지 타온다. 회의 하다 공중에 글씨를 쓰면 그 글씨가 바로 PC에
저장
된다. 무거운 노트북PC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손목시계 PC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일을 마무리한다.차량항법장치를 자동차에 달면 교통지옥에 빠지거나 길을 잃을 염려가 없다. DMB ... ...
얼음에 수소
저장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미래 에너지로 각광받는 수소를 얼음 속에
저장
하는 신기술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 교수는 얼음 안에 존재하는 나노미터( ... 무게는 얼음 전체의 4% 정도”라며 “자연계에 풍부한 물을 이용해 수소를 대규모로
저장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장소기억이
저장
돼 있는 해마가 활성화되는 반면, 스트레스를 받은 쥐는 습관적 기억이
저장
돼 있는 선조체가 활성화된다. 같은 상황에서도 스트레스에 따라 다른 기억체계를 활용한 것이다. 결국 정서는 인성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능력 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좋아하는 선생님의 수업은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흐름 같은 순간적인 현상을 규명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메모리 분야에서도 반도체의
저장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으로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필름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한번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돼도 전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특성 덕분이다. 펄스 레이저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심리학과 강은주 교수는 “기억은 한군데가 아니라 뇌의 여러 부분에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
돼 있다”며 “컴퓨터처럼 뇌의 특정 부위를 제거해 특정 정보를 지우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특히 오래된 기억일수록 단단하기 때문에 지우기 힘들다”고 강조했다.잃어버린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