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 스칸듐(Sc)과 이트륨(Y) 아래 루테튬(Lu)과 로렌슘(Lr)이 들어간 형태다. 수소(H)와 헬륨(He)을 오른쪽 위에 따로 배치했다. 강석기 제공 IUPAC은 이런 혼란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보고 2015년 12월 이 문제를 해결할 소위원회를 구성했는데 위원장이 바로 에릭 세리 교수다. 올해로 4년차임에도 아직 ... ...
- MIT 거액기부 소식에 “우리도 인재 키워야” 기부액 2배 넘게 늘려동아사이언스 l2019.02.19
- 가칭) 건립 및 운영기금 출연 협약식’에서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왼쪽 사진 오른쪽)이 오세정 서울대 총장과 감사패를 펼쳐 보이고 있다. 김 회장은 한국 전자산업 기술 개발에 헌신한 공로로 2010년 인촌상을 받았다. 서울대 제공·동아일보DB 18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행정관. 이 건물 4층에 있는 ... ...
- 석유에서 부작용 없는 약물 핵심성분만 골라낸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9
- 락탐’ 성분을 분자 구조 내에 갖고 있다. 왼쪽 거울상 이성질체는 약물로 쓰이지만 오른쪽 거울상 이성질체는 약물 활성이 매우 떨어진다. IBS 제공. 하지만 유용한 이성질체만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비대칭 반응은 현대 화학의 난제 중 하나다. 연구팀은 지난해 개발한 촉매 디자인을 토대로 ... ...
- [애니멀리포트]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02.17
- 말했습니다. 동물과 함께 살기 위한 축제 (왼쪽 사진)1999년 마르치키타호의 모습. (오른쪽 사진)2017년 마르치키타호의 모습. 물이 줄어들어 크기가 작아졌고, 호수 중간 섬이 더 드러났다. ESA 해외에서는 동물권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축제 성격을 바꾸고 있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매년 ... ...
- “예쁜 내 로봇 다리” 사진, 인기팝뉴스 l2019.02.16
- 해외 소셜 미디어의 인기 사진으로 떠오른 이미지다. 한 미국 여성이 공개한 사진인데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 모양이 다르다. 왼쪽은 의족이다. 사진 공개자는 “로봇 다리”라고 부른다. 처음 다리를 잃었을 때는 끔찍했을 것이다. 의족을 세상 사람들 아무도 못 보게 숨겨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 ...
- 미국 여가수, 깜짝 놀랄 민낯 공개팝뉴스 l2019.02.15
- 놀랍다. 더 놀라운 것이 주근깨투성이 얼굴 사진을 본인이 직접 공개했다는 것이다. 오른쪽 화장 후의 모습도 역시 인스타그램에 공개된 것이다. 대담하게 맨 얼굴을 공개한 사람은 미국의 유명 가수 케샤이다. 보통 연예인들은 자신의 진짜 얼굴을 숨긴다. 여자라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케샤는 ... ...
- '1400도 불 뿜어도 반대쪽은 멀쩡' 초강력 단열재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2.15
- 열이 전달되지 않는다. 열차폐 능력이 지금까지 나온 어떤 재료보다 뛰어나다(왼쪽). 오른쪽은 가해지는 열을 측정한 사진. 열이 재료 바로 아래 부분을 넘지 못한다. 사이언스 제공 영하 200도의 극저온부터 영상 1400도의 초고온까지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파괴되지 않는 초강력 세라믹 단열재료가 ... ...
- 암호학계 난제 해독한 천정희 교수… 포스코청암 과학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19.02.14
- 수상한 천정희(왼쪽) 교수와 임태원(오른쪽) 센터장. 포스코청암재단 제공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와 임태원 현대자동차 미래혁신기술센터장이 2019년 포스코청암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포스코청암재단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2019년 포스코청암상 과학·교육·봉사·기술 4개 분야 수상자를 ... ...
- 美·中 이어 유럽도 우주軍 창설 고려…우주 평화의 시대는 가나 동아사이언스 l2019.02.12
-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지난 6월,도널드트럼프 미국대통령(오른쪽)은 공군에서우주군을 분리독립시키겠다고 발표했다.두달뒤인 8월 9일,마이크펜스 부통령(왼쪽)은 2020년까지 우주군을 창설하겠다는 계획을 선언했다. - 연합뉴스 제공 실제로 미국과 중국은 이미 우주 ... ...
- DGIST 학부생, 네발로 가다 뱀처럼 기는 로봇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2.11
- 기초학부 송진혁, 김예승, 김민송 학생과 윤동원 로봇공학전공 교수(뒷줄 오른쪽부터 시계방향으로). DGI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기초학부 학부생들이 뱀을 따라한 4족 보행로봇을 개발해 국내 로봇 학술대회에서 학부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DGIST는 기초학부 김성현, 김예승, 김민송,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