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 떨어지는 ‘초고에너지 우주선’ 기원은 거대질량블랙홀”동아사이언스 l2019.01.03
- 게 왼쪽 아래로, 그 왼쪽 끝에 처녀자리A전파은하(M87)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른쪽이 은하의 확대 모습이다. 이곳 중심부에는 거대질량블랙홀이 있는데, 이것이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기원으로 추정된다. -사진제공 ...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동아사이언스 l2019.01.03
- 조절 장치를 이식한 쥐의 모습(왼쪽)과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찍은 이식된 장치의 모습(오른쪽). 방광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면 LED 장치에서 빛이 발생하며 쥐의 신경에 신호를 전달해 쥐의 배뇨감을 막는다. -로리 스트롱, 애런 미클 제공 생체 이식 기술은 최근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사람 몸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2019.01.02
- 두끼만 먹는다. D는 세끼를 먹되 하루 권장량의 25% 수준이다. F는 하루 종일 굶는 경우다. 오른쪽 아래 도표는 요일별 식단으로 위에서 두 번째 줄이 시간제한섭식(TRF)이고 아래 세 가지가 간헐적 단식의 다른 버전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거르는 시간제한섭식(C)은 효과가 없거나 해로울 수도 ... ...
- [해 넘기는 라돈사태]쇼핑몰 검색해보니 방사성 물질 쓴 제품 4383개 '우르르'2018.12.31
- 나온다. ●대부분 업체들 모나자이트 방사성 물질로 인지했다 모나자이트 원석(오른쪽),이를 잘게 부슨 모나자이트 가루(왼쪽)가 침대매트리스의 포함됐고, 생활제품의 방사선량 기준치를 넘어 문제가 됐다.-위키백과 제공 모나자이트는 천연 방사성 핵종인 우라늄과 토륨이 포함되어 있는 ...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한수원 'SMART 표준설계변경인가 공동 추진 협약' 체결동아사이언스 l2018.12.30
-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왼쪽이 백원필 원자력연 원장 직무대행, 오른쪽이 정재훈 한수원 사장이다. -사진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연구원은 한국수력원자력과 27일 'SMART 표준설계변경인가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SMART 표준설계변경인가 획득사업을 ... ...
- 촉매 성능 20년만에 획기적 개선…더 값싸게 메탄올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12.30
- 이달 27일 밝혔다. 이 책임연구원과 함께 연구를 진행한 트란휴옌당 박사과정생(오른쪽)과 이희원 석사과정생(왼쪽) 국내 연구진이 메탄 산화 촉매의 성능을 개선해 20년만에 기록을 갈아 치웠다. 메탄올 제조공정의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이라는 평가다. 이현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1000조분의 1초’ 빛으로 ‘왼손잡이 분자’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18.12.27
- 다른 구조를 지니는데, 이들은 각각 다른 편광(빛이 진행할 때 전기장 방향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나선처럼 회전하는 성질)을 만날 때 빛을 흡수하는 성질 등에 차이를 보이게 된다. 연구팀은 합주파수 생성을 통해 완성한 펨토초 레이저로 이런 특성 차이를 세밀하게 밝혀 내 키랄 분자이 어떤 거울 ... ...
- 국산 3000t급 잠수함 저소음 설계기술, 기계연 최우수연구성과 선정 동아사이언스 l2018.12.27
- 창립기념식’에서 열렸다. 한국기계연구원 박천홍 원장(왼쪽)과 김봉기 책임연구원(오른쪽)이 27일 열린 제42회 창립기념식에서 최우수연구상 시상식을 갖고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 ...
- 이온풍 항공기부터 드론 교통로까지,'항공 무식자'를 위한 최신 안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12.25
- ‘플라이어 1호’에 탑승해 엎드린 채 조종간을 잡았고, 형 윌버 라이트는 비행기의 오른쪽 날개 끝을 잡았습니다. 라이트 형제가 첫 동력 비행을 기록한 날의 모습. John T. Daniels(W) 비행기에 묶여 있던 줄이 풀리자 플라이어 1호는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활주 레일을 벗어나는 순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2018.12.25
- 가늘어지기 때문이다. 위는 고양이 혀의 단면(왼쪽)과 말렸을 때 돌기가 일어선 모습(오른쪽)이고 아래는 이를 모방해 만든 빗이다. 일반 빗과 비교한 결과 고양이 혀를 모방한 빗의 성능이 훨씬 더 뛰어났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페르시아고양이는 관리가 필요해 개에는 훨씬 못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