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주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자국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실험한 발자국(가운데), 그리고 2017년 발견된 전남 신안 사옥도의 개구리 발자국 화석(
오른쪽
). -사진 제공 진주교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개구리 발자국 화석이 경상남도 진주에서 발견됐다. 김경수 진주교대 한국지질유산연구소장(과학교육과 교수)과 임종덕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
화재경보 울리면 천장서 스크린 ‘스르르’…비상 대피통로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8.12.24
복합재난대응(MDCO) 융합연구단의 백용 단장(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맨
오른쪽
)을 비롯한 연구자들이 최근 개발한 조기 재난경보·대응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건물을 중심으로 진동과 온도, 연기, 지하수위, 영상 등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이 원리를 적용할지는 각자(혹은 상사)의 선택에 달렸다. 왼쪽은 호모 사피엔스,
오른쪽
은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의 모습. -위키미디아 커먼스/마이크 백스터 제공 ④우리 몸엔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 인류의 조상이 남긴 유산에는 배울 게 많다. 과학자들은 유전자를 분석해 수십만 년 전 ... ...
기적의 얼굴 변신술 ‘화제’
팝뉴스
l
2018.12.22
데일리메일 등 해외 언론에 소개되면서 더욱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위 사진의 왼쪽과
오른쪽
여성은 동일 인물이다. 한 미국 여성이 스스로를 완전히 다른 존재로 탄생시키면서 그 과정을 영상에 담아 공개했다. 설명에 따르면 이런 충격적 변화의 80%는 화장에 때문에 가능하다. 나머지 20%는 ... ...
윙크하는 강아지
팝뉴스
l
2018.12.21
강아지’의 모습이다. 강아지는 얌전하게 앉아서 왼쪽 눈만 감았다.
오른쪽
눈은 동그랗고 얼굴은 전혀 찡그리지 않았다. 고양이는 윙크를 자주 해 봤으며 아주 능숙한 것으로 보인다. 사진 설명에 따르면 강아지는 자유자재로 윙크를 한다고 한다. 하지만 많은 해외 네티즌들은 반신반의한다 ... ...
'IS로부터 학생 구출'…스웨덴 룬드대 화학과의 비밀작전 4년만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터너 스웨덴 룬드대 교수(
오른쪽
)은 4년 전 제자였던 피라스 주마(왼쪽)가 IS 점령지에 갇히자 용병을 고용해 구출했다고 룬드대 잡지 'LUM'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캐닛 루오나 제공 "교수님, 제가 만약 일주일 내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학위 논문을 영영 제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2014년 ... ...
음식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 주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위스콘신매디슨대 쉬둥 왕 재료과학및공학과 교수(
오른쪽
)는 위장에 부착하면 배터리 없이 뇌에 전기 신호를 줘 체중을 조절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왕 교수가 장치를 들어 보이고 있다. -샘 밀리언 위버 제공 위 벽에 부착하면 전기 신호로 뇌를 속여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장치가 개발됐다. 음식을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70 세의 정상적인 뇌이고
오른쪽
은 알츠하이머 병을 앓고있는 70 세의 뇌이다. -Jessica Wilson/네이처 제공 알츠하이머 질환을 일으키는 유발단백질이 수술을 통해 사람끼리 전염돼 치매에 걸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존 콜린지 영국 런던칼리지대 신경학과 교수 연구진은 ‘베타 ... ...
접착력 강하고 고통없이 떨어지는 반창고용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표면이 찢어지는 모습(왼쪽)과 자외선을 쪼였을 때 표면이 찢어지지 않고 분리되는 모습(
오른쪽
). -지강 수오 제공 이 물질은 떼어낼 때 자외선을 3분 정도 쪼여주면 철 이온이 카르복실기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결합이 해제된다. 자외선을 쬔 이후의 접착력은 물질을 발랐을 때의 접착력인 1㎡당 10J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바이러스의 게놈에 넣어주면 나노항체를 만들 수 있다. 아래 흰 분자가 항원이다(
오른쪽
). ‘사이언스’ 제공 그런데 낙타 혈장에 전형적인 항체와 함께 특이한 항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 항체는 Y자 모양으로 긴 사슬(heavy chain) 두 개와 짧은 사슬(light chain) 두 개로 이뤄져 있다.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