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융합포럼]AI로 4차 산업혁명 실체 규명한 임치현 교수 융합연구정책 최우수작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생산해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임치현 울산과학기술원 경영공학부 교수(
오른쪽
)와 이창헌 연구원(왼쪽)이 수행한 연구가 KIST 융합연구정책 팰로우십 최우수작에 선정돼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받았다-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 ...
촛불집회 때 광화문 대기 오염물질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양을 조사했다. 가운데 그래프에는 도로에서 떨어진 거리에 다른 블랙카본 농도를,
오른쪽
그래프는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연구진은 교통량이 비슷해도 계절에 따라 대기질이 달라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2015년 6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4일씩 ... ...
곤충 눈 구조 모방한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0
‘제노스 페키’의 모습(왼쪽)과 형광 염색된 제노스 페키의 시각구조(
오른쪽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의 곤충의 눈 구조를 모방한 신개념 카메라를 개발했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교수팀은 곤충의 일종인 ‘제노스 페키’의 눈 구조와 유사한 새로운 초박형 디지털 카메라를 ... ...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11.20
촬영한 쥐 배아의 발달과정. 창자(배아의 왼쪽에 검은 부분)의 형성과 신경관(배아의
오른쪽
에 하얀 줄)이 생겨나는 과정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Philipp Keller 제공 푸른색 영롱한 빛이 마치 별의 탄생 과정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이 사진은 하나의 생명이 자라나는 과정을 담은 것이다. 미국 ... ...
“韓, 소형 재사용로켓 개발하면 새 시장 선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준비 중이다. 과학소설 ‘로켓컴퍼니’의 한국 번역판(왼쪽)이 이달 초 출간됐다.
오른쪽
은 2005년 미국항공우주학회를 통해 출간된 원서. - 황금가지·미국항공우주학회 제공 특허 전문 변호사인 스티넌 대표는 한때 로켓을 개발했던 엔지니어였다. 대학에서 법을 전공했지만 항공우주회사에서 ... ...
머리를 써야 하는 극한 직업
팝뉴스
l
2018.11.18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한 가지 사실을 의아하게 생각한다.
오른쪽
에 사다리가 보인다. 사다리를 쓰는 것보다 저런 작업 자세가 더 편했던 것일까.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발견했다. 빙하 내부의 위상학적 모식도로 지름약 31㎞의 원형 충돌구를 표시했다.
오른쪽
아래 사진은 레이더로 촬영한 것으로, 중앙에 원형 공간이 선명하게 나타났다.-덴마크 자연사박물관 제공 연구진은 레이더를 이용해 공중에서 빙하 층 내부 지형을 정밀 측정했다. 원형의 경계면과 중앙부 ... ...
다리를 잃었지만.... 미국 여성 모델 ‘화제’
팝뉴스
l
2018.11.14
제공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활동하는 모델 테사 스나이더의 모습이다.
오른쪽
은 29살 현재의 모습이다. 그녀는 11살에 다리를 잃었다. 암 때문이었다.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다리를 포기해야 했던 것이다. 테사 스나이더는 현재 모델로 활동 중이다. 두 명의 자녀도 두고 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 ...
땅위 인공태양 대용량 데이터 대륙간 전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사진 왼쪽)와 김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연구원(
오른쪽
)가 지난 13일(현지 시간)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슈퍼컴퓨팅컨퍼런스 18'에서 빅데이터 익스프레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14일 대용량 과학 데이터 전송 미들웨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각도가 70도인 지점이다. 이는 우리 눈이 보는 범위인 시야각 140도의 절반이다. 화면
오른쪽
이나 왼쪽 끝을 주목했을 때 반대쪽 영상이 시야에 들어오려면 70도 이내여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8K 영상과 4K 영상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범위는 1.03m에서 1.31m 사이인 18㎝라는 말이다. 시력이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