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4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장영재 KAIST 교수팀, IEEE TSM 우수논문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05
2차전지 소재 관련 공장 내 로봇 운영도 확대 중이다. ■ 함병승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양자역학의 핵심 현상 중 하나인 ‘양자지우개’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 양자지우개는 양자가 지닌 파동-입자 이중성과 불확정성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친환경 폴리우레탄 합성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04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사업화를 지원하는 등 초기 창업기업의 성장을 돕는다. 이흥노 GIST
전기
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가 2020년 설립한 리버밴스는 블록체인 기술 전문성을 인정받아 2022년 벤처캐피털(VC) 엔젤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지원사업 선정으로 AI 기반 탈중앙화거래소인 'AI-DEX' ... ...
뇌 속 여러 신경전달물질 실시간 측정하는 브레인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04
칩을 최초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브레인칩은 뇌 신호를 읽거나 뇌에
전기
적 자극을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다. 뇌 표면에 부착하거나 뇌 속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신경전달물질은 뇌가 동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전달물질의 농도가 높거나 낮으면 뇌의 동작에 ... ...
첨단 디스플레이 구현하는 고효율 진청색 OLE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03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재료와 소자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유승협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김윤희 경상국립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높은 효율을 갖는 진청색 OLED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암모니아 연구로 탄소중립에 한 걸음 더 '성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생산 방식별 수입량에 따른 최적화 시나리오 연구로 탄소중립 암모니아를 활용한
전기
생산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데 경쟁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모니아를 분해하는 시스템과 인산형 연료전지를 결합해 작은 규모의 분산형 발전 시설을 설계했다. 암모니아의 ... ...
잠자는 동안 꿈꾸며 보호색 바꾸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29
연구팀은 바늘 모양의 전극을 문어의 뇌에 삽입한 뒤 뇌 신경세포들이 주고 받는
전기
화학적 신호인 국소장전위(LFP) 신호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얕은 잠을 잘 때는 깨어있을 때와 유사한 수준의 LFP 신호를 감지했다. 깊은 잠에 빠져들었을 때는 신호의 발생빈도와 지속 시간이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 ...
220볼트 콘센트만 있으면
전기
차 충전·결제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23.06.29
보급 사업에 OCPP 2.0.1 규격을 채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OCPP 1.6 인증을 의무화한 만큼 충
전기
제조사들의 OCPP 2.0.1 인증에 대한 수요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항공 운항에서 나오는 양과 맞먹는다. 따라서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
분해해 만드는 그린수소가 주목받지만 여러 조건이 충족돼야 해 쉽지 않다. 재생에너지 효율이 낮은 우리나라는 중동에 그린수소 설비를 짓는 쪽으로 집중하고 있다. 대신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 ...
6시간 세탁해도 끄떡없는 플렉시블 OLED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6.28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공정을 말한다. 연구팀은 수분에 의해 맥신의
전기
적 특성 열화 메커니즘을 분석했고 인캡슐레이션 박막을 설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플렉시블 OLED는 햇빛이 비치는 실외 조건에서도 인식이 가능한 밝기를 구현했다. 6시간 동안 물 안에 있어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
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데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