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5건 검색되었습니다.
'딱 한 잔인데 어때'는 안일한 생각…술 한 잔에도 운전중 인지능력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잔이
채
되지 않는 술을 마셔도 인지능력과 순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5일부터 음주운전 단속기준이 혈중 알코올 농도 0.05%에서 0.03%로 강화됐다. 사람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대개 성인 남성이 소주 한 잔을 마시고 한 시간 정도 지났을 때 측정하면 ... ...
'원자로 운영자 한 명에게만 책임 몰아가기?'…한빛1호기 끝나지 않은 의혹들
2019.06.24
게 원안위의 조사 결과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한수원이 지침서를 아예 잘못 이해한
채
로 지금까지 원전 시험에 나서온 정황도 드러났다. 한수원은 운영기술지침서 상의 열출력이 노외핵계측기 열출력이 아니라 2차측 열출력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원안위는 제어봉 시험에서 2차측 열출력을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탓인지, 몸이 좋지 않아 발을 헛디딘 탓인지 깊은 상처를 입은 외치는 피를 많이 흘린
채
숨을 거둡니다. 그의 몸은 따뜻한 가을바람에 바싹 말랐고, 얼음 밑에 갇히면서 미라로 보존되었습니다. 이후 5300년이 지나,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가 빙하 위에 쌓였습니다. 어두운 색깔의 먼지가 햇볕을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레독스 흐름 배터리(RFB)를 활용했다. 배터리에 음극액과 양극액을 막으로 분리한
채
담으면 둘 사이에 전기의 흐름이 생기는 원리를 이용하는 전지다. 이를 두고 ‘흐름 배터리’로 부르는 이유는 음극액과 양극액을 펌프로 계속 순환시켜 전해액을 공급하기 때문이다. 펌프 역시 흐름 배터리에서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 ‘늦깎이 신입생’ UAE는 왜 화성을 겨냥했나(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할 것"이라고 말했다. UAE의 화성탐사임무(EMM) 과정을 묘사했다. 달탐사 과정을 생략한
채
곧바로 화성으로 향하는 다소 공격적인 계획이다. 사진제공 ... ...
스마트폰이 말했다 "눈 감고, 명상 시작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앱은 명상음악과 전문가의 명상 지시를 들려주고 참가자는 이를 듣고 눈을 감은
채
따라 하도록 했다. 앱은 더 나아가 참가자들이 얼마나 집중할 수 있는지를 명상이 끝날 때마다 확인하며 주의를 요구했다. 짧은 명상 코너가 끝날 때마다 참가자들은 그 시간 동안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일 수 ... ...
"얼룩말 줄무늬는 체온조절용"…서식지서 첫 실증 연구
연합뉴스
l
2019.06.16
촉진되는 것으로 콥 부부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얼룩말이 흰색 부분은 그대로 둔
채
검은색 털을 세우는 독특한 능력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는 것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콥 부부는 한낮에 검은색과 흰색 줄무늬 사이에 온도 차이가 있을 때 검은 털을 세우면 피부에서 ... ...
요즘 과학고 학생들은 어떤 수학문제를 풀까
과학동아
l
2019.06.15
답을 적은 문제는 선택형 4문제와 단답형 1문제, 총 5문제였다. 참담했다. 답안지를 받아
채
점해보니 그마저도 한 문제는 답이 틀려 최종 성적은 8.1점이었다. 세종과학고 1학년의 이번 시험 평균 점수는 수학A와 B를 합쳐 40점대 중반이었다고 한다. 시험은 망쳤지만, 기분은 나쁘지 않았다. 과학고의 ... ...
美 NIH원장 “남초 학술대회 참석 안 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이는 그 동안 생명과학계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서 비롯된 의학적 차이를 무시한
채
남성 또는 남성의 세포를 ‘기본’ 대상으로 연구해온 전통을 바꾸기 위해서였다 ... ...
장내미생물은 약물도 '꿀꺽'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약의 효과가 그때그때 다른 문제도 여전히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레보도파를 중간에
채
간 도둑으로 장내 미생물을 지목했다. 연구팀은 레보도파와 유사한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을 분해하는 미생물 효소에 주목했다. 분석 결과 우유나 김치에 있는 균류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가 타이로신과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