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수께끼에 싸인 사자신 스핑크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호르엔 아케토'라 불리고 있었다. 아케토란 태양을 의미하며 호르란 제3왕조(기원
전
2650년경)이래 파라오의 화신이었던 호르스 신(神)을 가리킨다. 스핑크스는 사자모양을 한 태양신이며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으므로 쿠프왕이 스스로의 피라밋에 '아케토 쿠프'란 이름을 붙여도 ... ...
종래의 유기설은 완
전
치 못해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점에서 석유나 천연가스는 지구내부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된다는 '무기설'을 10년
전
미국 코넬대학의 두 교수가 제창했다. 이 설에 따라 탐광한 결과 10km 이상 깊은 층에서도 광상이 발견되었다. 물론 무기설에도 모순은 많다. 무엇보다도 생체에서 유래하는 물질이 어째서 섞여있는지 설명이 ... ...
서독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보다 좋은 감자」생산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위해서 이러한 조작을 가한 후, 실험적으로 병원균을 주입해 보아야 한다. 만약 저항유
전
자를 받아들였다면, 그 감자 조각은 건강할 것이요, 그렇지 못한 감자조각은 병들어 죽을 것이다. 결국 여기서 얻어낸 새로운 품종의 감자는 수확성도 좋고 저항력도 강한 것이 되게 된다 ... ...
PART 3 생명의 시작은 물에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배출한다. 또 고래의 신장은 매우 효율이 높아 많은 바닷물을 마신다. 해초와 파충류는
전
적으로 염분만 배출시키기 위해 특별한 샘을 지니고 있다.갈매기는 체중의 10분의1의 바닷물을 마실수 있는데 그것은 약7.5ℓ에 해당되는 양이다. 잉여염분은 불과 3시간동안에 모두 배설해 버린다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U}^{235}$ 폭탄으로 열핵반응을 일으킨 것이었다. 그러므로
전
통적인 화학연료의 공급이 고갈될 때가 가까와옴에 따라 중수소의 중요성은 증가할 것이다. 바닷물에 들어 있는 핵융합연료의 양은 거의 무한정하다.바닷물 1갤런중에 들어 있는 중수소는 그 에너지 함량에 ... ...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김학기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그러나 아무리 배출허용기준 이내의 오염물이라도 폐기물의 절대량이 많을 경우
전
체 오염물의 양은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난다. 선진국에서 제철소의 공해방지대책에 부심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제철산업에서 잔뼈가 굵은 사람답지않게(?) 시종 잔잔한 목소리로 설명하는 김부회장은 1954년 ... ...
식생활의 혁명-제4세대의 식품이란? 최상의 것을 값싸게 구하는 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또한 식품산업의 발달로 각종의 서비스가 개발되어 요리에 소요되는 시간도 이
전
의 3분의1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요리 자체에서 아직도 자신의 취향을 반영할 여지는 있다 ... ...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큰 것은 피한다. 이것은 약쑥이 상당히 자란뒤에 채취한 것임에 틀림없다. 둘째, 키가 30cm
전
후이며 잎의 크기가 고르고 너무 무성하지 않은 것이 좋다. 단오날 채취한 것을 최고로 치고 있는데, 그때까지는 키가 그렇게 많이 자라지 않기 때문이다. 세째, 잎의 뒷면에 흰 솜털이 촘촘하게 나있어야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이룩한 공헌 뿐 아니라, 기센대학을 독일은 물론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학으로 발
전
시킨 공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리비히의 대리석상을 세웠다. 이 대리석상은 이곳의 유일한 기념물이다. 지금도 그 동상이 세워진 언덕을 '리비히 동산'이라 부르고 있다 ... ...
퍼스널컴퓨터의 그래픽기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대해서 살펴보자. 함수그래프도 다른 그래프를 그릴 때와 마찬가지로 그리기
전
에 축소, 확대비를 계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함수그래프의 표시구간은 음수까지도 포함하기 때문에 좌표축의 중심이 표현구간에 따라 변화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여야 한다. (그림12)은 일반적으로 함수그래프를 ... ...
이전
1537
1538
1539
1540
1541
1542
1543
1544
1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