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SW.1 불만많은 PC사용자 무엇을 사서 어떻게 쓸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잘 아는 사람인가? 어떤 방법으로 교육을 할 것인가? 사용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전
화로 알아볼 수는 있는가?여기에서 나열한 정도로 세심하게 소프트웨어를 고른다면 2개에서 3개 정도의 소프트웨어를 고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값을 비교하라. 만일 그래도 결정할 수 없다면 이름이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처음으로 학계에 알려진 것은 1966년경 한국자연보존위원회(현재의 한국자연보존협회의
전
신)에 의한 비무장지대 생태계학술연구를 행하던 때였는데,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지금에도 이곳의 큰용늪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가 별로 없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대암산의 고층습원은 ... ...
초
전
도 현상이 실온에서 가능할까? 뜨거운 온도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발표된 내용은 정확한 실험을 거쳤는지 의심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 고온 초
전
도 물질은 모두 란탄계 화합물과 이트륨계 화합물로 2가와 3가의 원소에 산화구리를 섞어 만든 세라믹 계통의 물질이다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한 모습인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첨단기술사회에서의 발명은 양과 질에서 과거와는
전
혀 다른 새로운 모습을 갖게될 것이다.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그저 외국의 기술이나 복사하는데 머무를 것이며 창조성은 점차 빛을 잃게될 것이다. 발명은 간단한 생활용구의 개량에서부터 ... ...
생물 학습목표를 확실히 알고 시작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자세히 훑어볼 수 있는 시간이 없다. 이럴 경우에는 참고서의 ‘요점’난을 중심으로
전
체내용을 요약·정리하고, 평소에 잘 풀지 못했던 문제들을 다시한번 풀어보아 자기의 약한 부분을 보완하면 된다. 고3때는 단기완성 시리즈와 문제집으로생물교과서는 1,2학년에서 거의 마무리를 짓고, 3학년이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흥미깊은 것은 암세포를 정상세포와 동화 공존시킴으로써 암종양의 발생을 막고
전
생태계의 생명을 지키는 방법이다. 이것은 서구적 발상이라기 보다 오히려 동양적 사고에 의한 것이다. 세포는 살아있다. 인간도 살아있다. 지구도 살아있다. 우리는 한번 더 생명의 존재방식을 직시하여 새삼 ... ...
내가 쓰는 컴퓨터 알면 알수록 깊어지는 재미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일단 컴퓨터와 친해져라. 그후의 문제는 사용자의 노력과 창의성에 달려 있다.컴퓨터는
전
자 계산기에서 발
전
한 것이고, 그 궁극적 목표는 인간 ... 컴퓨터와 친근해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후에 컴퓨터가 지닌 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전
적으로 사용자의 노력과 창의성에 달려있는 것이다 ... ...
실리콘은 사라지는가 광
전
자(光電子)시대의 반도체소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손톱 크기 만한 실리콘 칩 안에 수백만개의 기억소자를 집어넣는 극한의 기술. 이는 어디까지 가능할까. 실리콘을 대체할 새로운 소자는?최 ... 쓰일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당분간은 실리콘과 갈륨비소 반도체 기술이 동시에 발
전
하면서 갈륨 비소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양상이 될 것이다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발달 된다. 곤충은 복안과 단안(單眼)이 있다는 것은 상식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전
혀 눈이 없는 장님이(虱)가 있는가 하면 동굴이나 지하수같은 곳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눈이 필요없는 곤충도 있다. 이들은 퇴행적(退行的)진화로 눈이 없어진 것도 있다.그대신 감각털이 나있든지 후각이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기치를 내걸었던 일본은 기술 선진화에 성공했다. 이제 일본이 창안한 ‘모방형 기술개발
전
략’의 모범생인 한국이 일본과의 일방적 의존관계에서 벗어나 상호보완적 관계를 맺기 위한 길은 무엇일까? 한국화학연구소의 한 책임연구원은 국공립 연구소의 연구내실화를 들었다. “연구보다는 ... ...
이전
1539
1540
1541
1542
1543
1544
1545
1546
1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