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점"(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 KSTAR, 알고보니 타임머신?동아사이언스 l2014.01.12
-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시공간이 떨어져 있는 두 지점을 연결하는 통로인 ‘웜홀’이라는 현상을 이용하면 빛보다 훨씬 빠르게 시간이 거꾸로 흐르는 상황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 차원이 다른 세계에 나와 다른 삶을 사는 또 다른 내가 존재할 수 있다는 ... ...
- 우리 바다, 이어도해양과학기지가 지킨다동아사이언스 l2014.01.03
- 이후 1990년대 말부터 탐사 작업을 주도했고 2003년 이어도 암초의 수심 41m 지점을 거점으로 기지가 완공됐다. 심 본부장은 “2000년 11월과 2002년 9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이 이어도기지 건설 중지를 요청했는데 국제법상 관례에 따라 이어도 해역은 우리 영역에 포함된다는 점을 근거로 기지 건설을 ... ...
- 3D 프린팅 기술이 미래를 이끌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금속재질 권총을 공개했다. 50발을 성공적으로 발사한 시험 발사 영상에는 30m 떨어진 지점의 표적의 정확히 명중시키는 장면도 공개됐다. 전문가들은 3D프린터로 만든 플라스틱 권총이 지난 5월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후 설계도도 공개돼 민간인도 권총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상황에서 금속 ... ...
- 태양흑점 폭발, 우리 기술로 다 찾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3.12.16
- ● “우주환경 감시위성 개발 적극 나서야” ASSA를 통해 흑점 폭발 확률과 폭발 지점을 계산하는 장면. - 국립전파연구원 제공 ASSA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인정받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무료로’ 제공됐다. 이에 대해 홍 연구사는 “애초에 돈을 벌기 위해 만든 것도 아니고, 수익사업을 ... ...
- 中, 美-러 이어 세번째 달 안착… ‘옥토끼’ 표면사진 보내와동아일보 l2013.12.16
- 달 표면 사진 등 관측 데이터를 보내와 정상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착륙 지점은 달 표면 서경 19.5도, 북위 44.1도로 훙완(虹灣) 구역의 동쪽이다. 훙완 구역은 운석이 달과 충돌하면서 생긴 동서 300km, 남북 100km의 움푹 들어간 곳이다. 창어 3호의 착륙은 주 엔진과 28개의 작은 반동추진 ... ...
- 송년회로 피곤한 연말, 안전운전 걱정마세요!동아사이언스 l2013.12.10
- 파악한다. 특히 이 시스템은 3차원(3D) 안면인식 장치를 이용, 운전자 얼굴 속 240여 지점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 '기분'까지 파악한다. 운전자의 심리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할 경우, 이성을 잃고 과속을 하거나 반응 속도가 둔해져 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날카로운 경고음을 빠르게 울려 ... ...
- 짧은 스침과 긴 여운, 아이손의 근일점 통과기동아사이언스 l2013.12.05
- 혜성은 해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 태양 표면으로부터 120만km, 태양 반경의 2.7배 지점을 지났던 것이다. 이때 혜성은 무려 섭씨 2700도의 고열은 물론이고 태양의 강력한 조석력을 견뎌내야 했다. 태양 바로 근처에서 일어난 일이므로 지상에서는 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태양 곁에 바로 붙어 있는 ... ...
- 아이손 혜성 결국 먼지로...동아사이언스 l2013.12.02
- 견디지 못한 것이다. 천문학계에서는 지난달 29일 혜성 아이손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파손됐다는 의견과 ‘아직까지는 핵의 일부분은 살아남아 있다’는 주장으로 양분돼 논쟁으로 이어왔다.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주말까지 ‘살아남아 있는 것 같다’는 ...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12.02
- 공기의 저항 때문에 가벼운 건 얼마 못가 떨어지고 큰 건 더 멀리 간다. 운석을 찾은 지점을 빨간 점으로 표시했다. 이 운석들은 통틀어 ‘알마하타시타운석’이라고 부르는데 알마하타시타(Almahata Sitta)는 아랍어로 ‘6번 역’이라는 뜻이다. 운석 대부분이 사막을 남북으로 횡단하는 철도(노란선 ... ...
- 아이손 혜성, 보이지 않는 이유 알고보니...동아사이언스 l2013.12.01
- 제공할 것이라고 관심이 집중됐다. 당초 아이손은 올해 11월 29일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한 후, 지구로 접근해 한 동안 육안으로 관측할 만큼 밝은 빛을 낼 것을 기대됐다. 하지만 지난달 27일부터 ‘최신 관측 결과 혜성의 핵이 부서지기 시작했다는 징후가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