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 근시 잡는 방법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8.28
맺히면 ‘근시’, 망막 뒤에 맺히면 ‘원시’라고 하며 상이 한 점에 맺히지 못하고 여러
지점
에 맺히는 경우를 ‘난시’라고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9월 1일자 특집에서는 눈 건강을 직접 체크할 수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소개한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이밖에도 초등학생의 시력 이상을 ... ...
[신나는 공부]‘3대 변수’를 잡아라
동아일보
l
2013.08.27
수능 국어·탐구영역을 공부할 때는 여러 문제와 지문, 자료를 넘나들면서 새로운 연결
지점
이나 맥락을 도출하는 연습을 하면 좋다. 자연계열 논술에서는 제시문에서 다루는 과학 원리나 사례에 대해 실생활과 연결·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두면 창의적 답안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 ... ...
3점슛 비결은 속도와 각도···"45도보다 높게 쏴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8.23
거리와 비례하는 속도로 공을 던지는 것이 가장 좋다. 즉, 골대와의 거리가 5m인
지점
에서 슛을 쏠 경우 초속 5m 정도로 던지면 된다는 말이다. 국민대 체육학부 이기광 교수는 “공의 낙하 각도가 작으면 그만큼 공이 들어갈 수 있는 림의 넓이가 작아지는 셈이니 애초에 슛을 45도보다 5도 정도 ... ...
[채널A] 백두산도 안심할 수 없다…만년설 감소-마그마 통로 발견
채널A
l
2013.08.20
먼저, 더 크게 폭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천지 바로 아래 5km
지점
에 마그마가 뚫고 나오기 쉬운 밀도가 낮은 통로가 만들어져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습니다. [인터뷰 : 최승찬/독일 킬대 지구과학과 교수] 마그마 방에서 백두산 상층부로 바로 올라가는 밀도가 ... ...
악마의 문제가 있다?!
수학동아
l
2013.08.19
많은 수학자가 이 문제에 도전했다. 제타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함숫값이 0인
지점
이 여러 개 나타난다. 이런 점이 무한히 많이 나타난다면 리만가설이 참이 된다. - 수학동아 제공 수학자들이 리만가설 연구에 몰두하는 이유는 소수에 치명적인 매력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먼저 정의가 ... ...
스마트폰으로 본 하늘 모습은?
동아일보
l
2013.08.18
도의 혹한에도 깨끗하고 선명한 화질로 지구의 아름다움을 담았다. 목표로 했던 상공 30km
지점
에서 풍선이 터지면서 낙하산에 매달려 지상으로 내려온 G2에는 우리나라 하늘과 땅 모습을 담은 풀HD 영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LG전자 관계자는 “1300만 화소인 후면 카메라에 탑재된 광학식 손떨림 ... ...
주차공간이 부족해요? 차를 ‘접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적을 만나면 몸을 둥글게 마는 동물 ‘아마딜로’에서 따온 이름처럼, 주차할 때 중간
지점
을 기준으로 뒷부분이 위로 들리면서 주차공간을 최소화하는 방식이다. 운전자가 차에서 내린 뒤 스마트기기로 신호를 보내면 자동으로 접히는 이 전기차는, 접은 상태에서 360도 회전하는 등 자동 주차 ... ...
감속않고 하이패스 ‘쓩’… 방호벽에 ‘쿵’ 다른 차와 ‘쾅’
동아일보
l
2013.08.12
상하행선 각각 12차로와 20차로로 넓어졌다가 다시 5차로로 좁아지는 서울요금소 합류
지점
에서는 서로 양보를 하지 않다가 차량끼리 뒤엉켜 급제동하는 모습도 보였다. 요금소를 통과한 뒤 갓길에 차를 멈추고 휴식을 취하거나 하이패스 요금 미납 시 전광판에 뜨는 미납 요금을 곧바로 내기 위해 ... ...
급커브 빗길은 ‘미끄럼틀’… 베테랑도 시속 50km서 ‘꽝’
동아일보
l
2013.08.05
발생한 빗길 사망사고 135건을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발생
지점
이 굽은 도로인 곳에서 발생한 사고가 68건(50.4%)으로 가장 많았다. 곧은 도로(55건)와 진출입로(10건)가 뒤를 이었다. 빗길 사망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도로는 단연 남해고속도로 군북 나들목∼진주 나들목 25km ... ...
지구 끝자락까지… 대한민국의 새로운 영토를 열어라
동아일보
l
2013.07.31
고민에 빠졌다. 몇 년 전 중국 쇄빙선이 북극점에 도전했다 북위 89도
지점
에서 포기했던 사실도 떠올랐다. 대한민국 극지 연구의 능력을 세계에 다시 한 번 과시할 수 있는 기회였다. 그러나 그는 기존 연구 일정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강 연구부장은 “북극점을 통과하는 것도 의미가 있었지만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