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스페셜
"
안
"(으)로 총 2,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탈성장 시대 새로운 키워드는 '로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어떻게 진화할 수 있을지 공론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올해
안
에 10회에 걸쳐 다양한 형식으로 개최된다. 크게 두 가지 시리즈가 있다. 신제조업 현장의 다양한 시도를 듣는 ‘신제조업의 영민한 루키들’ 시리즈와, 근대 이후 산업과 문화, 기술지형의 변화를 투영하는 철학이론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만 있어도 쉽게 찍는다
과학동아
l
2020.06.18
주변에서 ND필터로 쓸 수 있는 물건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과자봉지입니다. 과자봉지
안
쪽은 반짝거리는 은색 재질로 돼있습니다. 햇빛과 공기로부터 과자가 변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알루미늄 박막 코팅을 했기 때문입니다. 알루미늄 박막은 빛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금속 박막이 사용된 ... ...
토성 위성 '타이탄' 극지 함몰 지형 "폭발성 분화 증거"
연합뉴스
l
2020.06.17
마르처럼 폭발적 분출이후 붕괴한 화산과 일치한다"면서 "일부는 생성된 지 얼마
안
된 것으로 보여 화산활동이 최근까지 이어졌거나 현재도 진행 중일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고 했다. [NASA/JPL-Caltec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0.06.09 송고] 칼데라는 화산 폭발 후 마그마방이 비어 화산이 ... ...
[코로나19의 유체물리학]"마스크 써도 침방울 최대 1m까지 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마스크와 얼굴과의 여러 상호작용의 결과로 기침을 하는 동
안
침방울 크기가 지속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며 “다만 이런 침방울 크기의 차이가 감염력으로 이어지는 지는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드리카키스 교수는 “마스크를 착용한다고 해서 완벽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시절인 1980년 스트론튬 티타나이트 광촉매에 대한 첫 논문을 발표한 이래 40년 동
안
효율을 높이는 연구에 끈질기게 매달렸고 이번에 극한의 경지에 다다른 것이다. 광촉매의 양자 효율이 낮은 가장 큰 요인은 빛을 받아 분리된 전자와 정공이 다시 합쳐져 원래대로 돌아가는 데 있다. 따라서 ... ...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장기전…경제 논리에 휘둘려선
안
돼"
연합뉴스
l
2020.06.16
계획이다. 영국에 본사를 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코로나19 확산이 지속하는 동
안
수익을 남기지 않으면서 세계 각국에 백신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 정부 기관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으로부터 1조원, 게이츠 재단에서 7천5백억원을 지원받기도 했다. ... ...
코로나에 집중하는 사이…가난한 나라들에는 홍역ㆍ콜레라 창궐
연합뉴스
l
2020.06.15
중앙아프리카에서 활동하는 국경없는의사회 치부조 오콘타 지부장은 수개월
안
에 홍역과 같은 전염병이 코로나19보다 더 많은 아이들을 숨지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소아 감염병을 전공하는 이본 말도나도 교수는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이 홍역에 걸린 환자가 2시간 ...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력 10배로 커졌다"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인체세포 표면에 돋아난 단백질 중 ‘
안
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해 세포
안
에 침투한다. 이 때 ACE2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의 부위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D614G 돌연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숫자를 5배 더 늘어나게 했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D614G 돌연변이가 생긴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외부 환경과 맞닿는 입자 표면의 비중이 커지면서 입자 자체가 불
안
정해진다. 입자가 불
안
정하다는 것은 곧, 입자가 금방 손상돼 수명이 짧다는 뜻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녹색과 청색 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채희엽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는 인화인듐을 활용해 발광 ... ...
[팩트체크]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0.06.13
미세플라스틱이 있으면 이런 생물 공극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고 분석했습니다.
안
교수는 “미생물과 작은 동물에게 미세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 중”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체내에 들어간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