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교수는 태양 중성미자 문제가 정말 진동변환 때문인지 밝혀내기 위해 흔히 존재하는 보통의 물(H2O) 대신에, 구하기 힘들고 비싼 중수(D2O)를 정부로부터 빌려 사용했다. 그는 캐나다 서드버리 지역에 위치한 1.5km 깊이의 탄광을 개조한 뒤, 투명한 대형 아크릴 원통에 약 1000t의 중수를 채워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효율이 워낙 높아 출력이 셌고, 연료의 밀도가 높은 것도 연비엔 이득이 됐다. 연비는 보통 연료 1L를 넣고 몇 km를 달릴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데, 디젤은 비중(물의 밀도에 대한 액체의 밀도 비)이 0.83 정도로 가솔린의 비중(0.75)보다 높다. 같은 부피의 연료로 더 많은 에너지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달라지는 속도의 함수로 굴절률을 표현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굴절률의 정의다. 이것은 보통 군속도(Vg) 나타내고, 이것을 추가한 굴절률을 집단 굴절률(ng)이라고 부른다(아래 식 참고). 평소에는 파장 별로 속도 차이가 작기 때문에 군속도를 무시할 수 있다.다시 루비듐으로 돌아와서, 파장에 따른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삼기 때문이다). 팔을 수직으로 올리고 공을 던지는 오른손 정통파 투수의 싱커는 보통 2시 방향의 스핀을 띤다. 이렇게 스핀이 대각선으로 생기면 위아래로 공이 움직일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공이 움직이게 된다. 오른손 투수가 오른손 타자를 상대로 싱커를 던졌을 때 몸쪽으로 날카롭게 파고드는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해 전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연구하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보통 숙주세포에 짧게 머물면서 유전자를 복제한 뒤, 세포를 터뜨리면서 퍼져 나갑니다. 게릴라처럼요. 그런데 드물게, 바이러스가 세포에 오래 머무는 쪽으로 유전자 발현을 바꿀 때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웨그너 박사는 제 아가미 조직을 관찰해서 열교환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보통 물고기들의 몸 바깥에서 몸 중심쪽으로 차가운 피가 이동해요. 바깥쪽이 차가운 바닷물과 닿아 있기 때문이죠.그런데 전 다른 물고기들과 달라요. 제 아가미에는 차가운 바닷물 쪽에서 몸 안쪽으로 들어오는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접시에 담은 모습이 맛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했어요. 샐러드에 들어가는 채소들을 보통 접시에 담듯 한데 모아 놓기도 하고, 모두 펼쳐 놓기도 했어요. 또한 러시아의 추상화가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 ‘그림 201번’에 따라 놓기도 했지요. 그런 뒤 어떤 배치가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지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더 놀라운 것은 이빨뿌리가 전체 길이의 3분의 2를 차지한다는 사실이다(위 사진➋). 보통 육식공룡의 이빨에서는 뿌리가 전체 길이의 절반을 차지한다. 게다가 전형적인 육식공룡의 납작한 이빨과는 달리,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은 상당히 두껍다.이렇게 다른 이빨 구조를 가지게 된 이유는 이들의 ...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가는 큰 종도 있지요. 포유류 중에서는 가장 오래 전부터 사람들에게 길러졌답니다. 보통 3만 년~1만 5000년 전부터라고들 하죠. 아마 내가 똑똑하기 때문에 기르지 않았을까요? 난 아주 빨리 배우거든요. 부모님의 행동을 보고 따라하기도 하고, 인간의 행동을 따라하기도 하며 배우죠. 그래서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방법보다 더 안전하다는 거죠. 김석중 툴젠 연구소장은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보통의 바나나와 거의 차이가 없도록 자연스럽게 약골 유전자를 없앨 수 있다면, 안전하면서도 튼튼한 바나나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어요.하지만 아직 이 기술을 이용해서 어떤 약골 유전자를 없앨지는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