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24시간에서 4분이 부족한 시간, 잰스키는 처음에 이것이 ‘1항성일’임을 알지 못했다.보통 사람들이 살아가는 평범한 하루는 24시간이다. 이를 태양일 이라고 부르는데, 태양일은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한 바퀴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반면 항성일은 지구가 별을 기준으로 한 바퀴 ...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곡선 위의 한 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과정에서 태어났습니다. 보통 기울기는 두 점을 지나는 선분을 그려 구합니다. 아르키메데스가 도형을 잘게 쪼개 계산했듯이, 16세기 수학자들은 구하고자 하는 점과 ‘매우 가까운’ 한 점을 택해 기울기를 구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둘 사이가 ...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들과 비슷한 가능성이 있는 3000개의 후보 행성을 발견했다. 항성계를 이루는 별은 보통 2~6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었지만 과학자들은 외계행성이 실제로는 그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중심별 가까이에 있는 큰 행성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형 행성도 ... ...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일단 이 동화가 과학적이려면 엄마와 아들 청개구리가 함께 살거나 마주쳐야 해요. 보통 동물의 세계에서 엄마와 아들처럼 서로 다른 세대는 ‘양육행동’이 있을 때 쉽게 마주칠 수 있어요. 자식에게 먹이를 가져다 주고, 천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바로 양육행동이랍니다.그러나 개구리에게 ...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상관없이 짝을 지을 때 나오는 경우의 수를 말한다. 브릭으로 만든 신기한 작품!사람은 보통 작고 단순한 것보다 크고 복잡한 것에 끌린다. 브릭 12개를 조립해 만들었다고 하면 만만하게 보지만, 브릭 10만 개로 만들었다고 하면 입을 쉽게 다물지 못한다.해외에서는 종종 ‘가장 신기한 브릭 ...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없어지면서 피부세포로 남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와딩턴의 추측이 맞으려면 보통 세포와 생식세포의 DNA가 똑같다는 것이 증명돼야 했다. 이것은 영국의 생물학자 존 거든이 체세포로 개구리를 복제하는 데 성공하면서 사실로 밝혀졌다. 1970년 거든은 개구리의 한 종류인 제노푸스(Xenopus ...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사용하고 있다. 식물 줄기세포의 가장 큰 특징은 전형성능(totipotency)이다. 전형성능은 보통 세포 하나로 온전한 개체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인간세포에서도 전형성능을 유도할 수 있다면 피부세포 하나로 복제인간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인간의 줄기세포인 배아줄기세포나 ...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최대한 실제 부엌과 유사하게 꾸몄다고 했다. 작고 아늑한 공간에 실제 가구를 들이고, 보통 요리 프로그램 세트장에는 없는 상하수도, 도시가스 같은 시설도 구축했다. 촬영장을 꾸미는 데만 1억 원이 넘게 들었다. ‘함께 먹는 것’은 사람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미국 심리학자 존 드 ... ...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발굴된 유물은 선체의 유물보관실에 보관되다가 태안보존센터로 옮겨져 복원된다. 보통 수중 문화재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건 도자기다. 실제로도 수중 문화재 중 90% 이상이 도자기다. 그래서 ‘수중 문화재는 도자기’라는 인식이 강한데, 사실 수중에서 발굴되는 모든 게 유물이다. 볏짚도 ...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고려 시대까지만 해도 문집과 어문 기록에는 음식과 관련된 언급이 거의 없었다. 보통 한문으로 쓰는 시문으로는 점잖고 고급스러운, 지식과 교양을 과시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적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조선 중기 이후로는 한문시나 산문 속에서 음식과 관련된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