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Go!Go!고고학자] 늑도의 특이한 유물들, 어디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방위를 읽고, 이곳이 평지인지, 산지인지, 주변에 강이 있는지, 사람들이 쉽게 올 수 있는 곳인지,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원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해요. 이런 훈련은 고대인의 삶을 복원하는 데 정말 중요해요. 유적이 발견된 장소의 지리적 조건에 따라 이 유적을 왜 만들었고 무엇을 했는지 추측할 수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관계사가 메르스 백신 임상을 시작한다는 기사를 보고 그곳에서 일을 해보자고 생각했다. 주변에서는 말렸다. 큰 조직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조직으로 이직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처음 미국에 왔을 때 작은 제약 벤처들이 근 10년 사이에 이름을 알릴 정도로 크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기둥 없이 튼튼! 지오데식 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변하지요. 이런 안정성 덕에 트러스 구조는 미국의 현수교와 프랑스의 에펠탑 등 다양한 곳에 쓰인답니다. 나만의 요새 만들기!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포함해 총 4개의 상을 받으면서 화제가 된 영화 에는 마당에 나만의 아지트 짓기를 즐기는 초등학생 ‘다송’이 등장해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는 대상을 ‘군’, 이를 연구하는 분야를 ‘군론’이라 부르죠. 우리 주위 다양한 곳에 대칭이 있듯 수학에도 여러 종류의 군이 존재하는데요, 이번 화에서는 제 연구 분야인 군론을 조금이라도 엿볼 수 있게 각양각색의 군을 소개합니다. 가장 먼저 소개할 군은 ‘n차 대칭군’ Sn입니다. 닐스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주연과 조연 신경세포지방세포에서 나오는 렙틴과 위장에서 나오는 그렐린이 향하는 곳은 어디일까. 이들은 모두 뇌의 시상하부의 궁상핵(arcuate nucleus)에 작용한다. 궁상핵이 식욕과 식이행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컨트롤타워인 셈이다. 특히 궁상핵에 존재하는 POMC(proopiomelanocortin) 신경세포와 NPY/AgRP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바다에 연간 최소 142만t의 미세플라스틱이 흘러들어간다는 뜻이 됩니다. 이는 환류대 5곳을 수년간 조사해 알아낸 미세플라스틱 양(약 26만9000t)보다 5배 이상 많은 양입니다. 김 교수는 “환류대 연구 결과는 해양 표면을 표류하는 330μm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양을 추정한 값”이라며 “반면 ... ...
- [특집] 비밀의 방 책상 - 모든 단서를 모아 건물에서 대탈출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탈출을 도울 ‘탈출러’를 찾습니다! 드디어 비밀의 방 구석에서 탈출구로 보이는 곳을 발견했습니다! 아무래도 이게 탈출 직전 마지막 관문인 것 같아요. 이 탈출구로 들어가려면 입구를 열 비밀번호를 알아내야 해요. 여기저기 단서를 찾아 헤매다 비밀의 방 모니터에 ‘이 암호는 반드시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대뜸 ‘하루에 하늘을 몇 번이나 올려다보냐’고 묻더니, 일정 시간마다 가까운 곳과 먼 곳을 번갈아 보면서 눈 근육을 의도적으로 움직여주라고 조언했습니다. 이때다 싶어 물었습니다. 청색광 차단 안경을 쓰는 건 얼마나 도움이 되겠냐고요. 하지만 그 전문의는 끝내 써라, 말라 어느 쪽으로도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아담하고 귀여운 모습이지 않을까’ 하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윤 교수가 가리키는 곳에는 거대하고 기괴한 모양의 로봇들이 일렬로 놓여있었다. 이들의 움직임은 더욱 반전이었다. 새의 날갯짓을 따라 하는 로봇부터 토끼처럼 점프하는 로봇까지, 실제 동물의 움직임처럼 부드럽고 ...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그런 다음 조리면과 겉면, 뚜껑까지 기름을 골고루 발라주고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에 보관합니다. 가마솥 표면에 기름막이 형성돼 주철이 물이나 산소와 만나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