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바다에 연간 최소 142만t의 미세플라스틱이 흘러들어간다는 뜻이 됩니다. 이는 환류대 5
곳
을 수년간 조사해 알아낸 미세플라스틱 양(약 26만9000t)보다 5배 이상 많은 양입니다. 김 교수는 “환류대 연구 결과는 해양 표면을 표류하는 330μm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양을 추정한 값”이라며 “반면 ... ...
[특집] 비밀의 방 -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단서를 찾지 못하고 봤던 책을 제자리에 꽂아두어야 할 것 같아 책이 있던
곳
으로 갔는데, 아까는 보지 못했던 버튼이 하나 보인다. ‘누르지 마시오’라고 적혀있지만, 호기심을 못 참고 ‘철컥’ 버튼을 누르자 한쪽 벽의 책장이 올라가더니 작은 통로가 나왔다! 보이니치 필사본을 연구하는 ... ...
[DJ 맹추의 수담수담] 수학을 빛낸 신스틸러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없는 ‘개념’은 없다 처음 소개할 신스틸러는 4색정리에 도전했다가 의외의
곳
에서 쓰이는 수학 이론을 만든 수학자입니다. 주인공은 바로 스코틀랜드 수학자 피터 테이트와 미국 수학자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입니다.1880년 테이트는 4색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문제를 다른 문제로 바꿨습니다.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주연과 조연 신경세포지방세포에서 나오는 렙틴과 위장에서 나오는 그렐린이 향하는
곳
은 어디일까. 이들은 모두 뇌의 시상하부의 궁상핵(arcuate nucleus)에 작용한다. 궁상핵이 식욕과 식이행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컨트롤타워인 셈이다. 특히 궁상핵에 존재하는 POMC(proopiomelanocortin) 신경세포와 NPY/AgRP ... ...
[특집] 비밀의 방 책상 - 모든 단서를 모아 건물에서 대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탈출을 도울 ‘탈출러’를 찾습니다! 드디어 비밀의 방 구석에서 탈출구로 보이는
곳
을 발견했습니다! 아무래도 이게 탈출 직전 마지막 관문인 것 같아요. 이 탈출구로 들어가려면 입구를 열 비밀번호를 알아내야 해요. 여기저기 단서를 찾아 헤매다 비밀의 방 모니터에 ‘이 암호는 반드시 ... ...
문화재가 간직한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기법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먼저 3D 스캐너로 비석을 스캐닝하고 글자의 흔적이 있는
곳
을 찾아 홈의 깊이와 폭을 측정했지요. 이후 이 홈들의 폭 대비 평균 깊이가 깊은 부분만을 남겨 글씨를 판독해 낸 거예요.연구팀이 비석의 글자를 판독하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저수지를 만든 책임자 중 한 ... ...
[통합과학 교과서] 슬럼프에 빠진 명사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된답니다.공기는 높은 기압에서 낮은 기압으로 이동하는 특성이 있어요. 즉, 공기가 많은
곳
에서 부족한 쪽으로 이동하는 겁니다. 이렇게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흐름을 ‘바람’이라고 해요. 바람의 세기는 두 기압의 차이가 클수록 더욱 커진답니다. 그렇다면 서쪽에서 ... ...
[교육뉴스] 온라인 개학으로 바뀐 학생부 ‘학생부 종합지원센터’에서!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 사항에 대한 도움 자료 등 학생부 기재 및 관리 법규와 지침을 한
곳
에 모아 제공합니다.동시에 전화와 홈페이지 질의응답 게시판을 이용해 궁금한 점을 상담할 수 있습니다. 상담은 각 시도 교육청에서 추천한 전문가와 센터의 전문 인력이 담당합니다 ... ...
[한페이지 뉴스]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Pan-STARRS)1’ 망원경에 처음 포착된 오무아무아(Oumuamua·미국 하와이주 원주민 언어로 ‘먼
곳
에서 온 메신저’라는 뜻)는 최장 길이가 약 400m로 오이처럼 길쭉한 외형이 특징이다. 오무아무아의 정식 명칭은 ‘1I/2017 U1’로, 이름에 붙은 ‘1I’의 의미는 첫 번째 인터스텔라(interstellar·심우주)라는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매력을 더한 것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블랙홀은 부피는 0이지만 엄청난 질량이 한
곳
에 모여 무시무시한 중력을 가진 죽은 별이다. 중력이 매우 강해 모든 물질을 빨아들인다. 심지어 빛조차 빨아들여 블랙홀은 눈에도 보이지 않는다. 이런 블랙홀에는 물질과 빛이 안으로만 들어가며 밖으로 탈출할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